메뉴

중국 대학생 10명중 9명 ‘취업난 우려’

청년웹사이트 381개 대학교 학생 설문 조사
50% 대학원 진학 예정…희망월급 5000위안이상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난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생 10명 중 9명이 취업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5명은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희망했다. 학생 80%는 희망 월급으로 5000위안(元) 이상을 받기 원했다.

중국청년웹사이트(中国青年网)가 381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7.93%의 대학생이 취업에 대해 걱정을 했고, 12.07%만이 “너무 걱정 할 필요 없다”고 응답했다.

 

취업 전망을 걱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87%가 ‘인턴 경험 부족’을 꼽았고, ‘사회에 대한 인식 결핍’(65.88%)과 ‘취업 방법과 스킬의 부족’(57.74%) 등이 그 뒤를 따랐다.

대학생들의 장래 희망 가운데 대학원 진학이 55.91%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취업(28.87%)과 공무원 시험(4.46%), 창업(3.94%) 등의 순이었다. “취업을 생각해 본적이 없다”는 응답도 3.15% 로 나타났다.

취업 도시 조사에서는 37.01%의 학생이 쿤밍(昆明) 등 비교적 경제력이 높은 ‘일선 도시’를 선택했고, 33.33%의 학생은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과 광저우 등 중국 내 경제수준이 가장 높은 ‘일선 도시’를 택했다.

예상 임금 조사에서 5000~8000위안을 받길 원하는 학생이 39.11%로 가장 많았고, 1만위안 이상(27.82%), 8000~1만위안(16.54%), 8000~5000위안(14.96%), 3000위안이하(1.57%) 순이었다.

 

대학생들이 취업에서 제일 많이 고려하는 요소로는 ‘개인 발전 전망’이 42.78%로 가장 높았고, 임금(28.08%)과 개인취향(10.24%), 직업 안정성(6.82%), 근무시간과 스트레스(4.2%), 근무 장소(1.84%) 순이었다.

대학생들은 자신의 취업 경쟁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실천’(88.05%)을 손꼽았고, ‘전문적인 지식 강화’(85.56%)와 ‘다양한 인턴 경험(79.53%), ‘의사소통 능력 향상’(74.5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은 졸업 후에 직장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응답자의 84.51%가 ‘직장 다니면서 다른 직장을 알아본다’고 답했다. 사직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9.45%였고, 계속 직장을 다닌다는 응답자도 6.03%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