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장사 회장, 아동 성추행 기사삭제로 ‘시끌’

상하이시위원회 홍보부 신문처 지시 의혹…네티즌 비판

상하이시위 기관(上海市委机关) 종합매체인 '신민만보(新民晚报)'는 3일 "1000억 재산인 부동산 재벌이 9세 여아를 성추행(혹은 성폭행)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중국 상하이의 한 상장사인 뉴타운홀딩스 회장 왕진화(王振華)가 용의자로 지목돼 현지 경찰이 확인하고 있지만, 현재는 이를 통제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 폭발적 뉴스가 인터넷에서 빠르게 확산되자 상하이 공안 네트워크과는 언론에 보도된 사건들이 아직도 사실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다시 발표했다. 이어 가장 먼저 폭로한 신민만보, 계면신문의 기사는 인터넷에서 일제히 사라졌고,  펑파이 신문의 기사 등 도 삭제 흔적이 보였다. 상하이는 잠시 침묵에 빠졌다.

 

 

중국 당의 매체인 인민일보 산하 인터넷 미디어 계정 '협객도(侠客島)'는 "어린이 성폭행에 대해 침묵은 용인이다"이라는 의미심장한 글을 올렸다. 이번 사건에 보도에 대해 언론의 '침묵'은 여론의 심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하이 언론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보다 무기력하다고 볼 수 있다.

 

원고 삭제 현상과 동시에 외부에 포착된 것은, 코드가 매겨진 "육x파 시 위원회 선전부:@모두, 왕씨가 미성년자 여성을 성추행한 혐의에 대해서는 각 언론사가 뉴미디어를 포함됀 보도를 하지 마세요. 이미 매체에 보냈으니 즉시 원고를 철회해 주십시오!"라는 스크린 캡처가 인터넷에서 전파하고 있다. 이어 언론에서 이른바 '육x파'이 상하이시위원회 홍보부 신문처 육일파 부처장이라고 지적했다. 이 캡처의 신빙성은 아직 알 수 없지만 누가 이런 장악력을 갖고  상하이 언론이 약속이나 한 것처럼 원고를 삭제했는지 의문이다.

 

원고삭제 사건이 누가 막후에서 지시했든 간에, 이런 조치가 이미 개방형 도시 이미지에 충격을 주었다는 점은 피할 수 없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