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전 세계 의약품 생산시장 주도

생산기지 해외로 이전한 미국 불안감 증폭

오늘날 중국은 전 세계 의약품 생산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거대한 복제약 산업을 가진 인도도 복제약 주요 원료의 8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한 일부 미국 기업들은 좌불안석이다.

미국 시애틀타임스는 21일자 '미국이 중국 약품에 의존하는 것은 큰 문제'라는 기사에서 오늘날 대형 매장과 약국에서 판매되는 약품, 병원에 가서 처방받은 각종 약, 그리고 미국 재향군인들과 세계 각지에 주둔하는 미국의 현역 군인들이 복용하는 각종 약품들,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중국산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지난 30년 동안 미국의 약품 생산업계 대부분이 해외로 이전했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마지막 페니실린 공장이 2004년에 문을 닫음에 따라, 미국은 이러한 약품을 더 이상 생산하지 않게 됐다.

 

현재 미국은 귀 감염, 연쇄상구균성 후두염, 폐렴, 요로 감염, 성 전파 질환, 렘병과 다른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범용 항생제를 생산할 능력이 거의 없다. 예를 들어 2001년 미국 정부가 탄저 공격에 대비해 2000만 제의 독씨싸이클린을 구입해야 했을 때, 워싱턴은 중국에서 원료를 조달하는 유럽 공급업자에게 도움을 청해야만 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