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공안, 이례적으로 친일분자 잇따라 체포

반중모화 등 만화 유포, 국가 이미지 먹칠 발언 등 혐의

중국 경찰이 중국 내 친일분자들을 집중 단속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9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랴오닝성과, 안후이성, 후베이이, 장쑤성 등 4개성은 친일 분자 타격에 관한 경계 통보를  발표했다.

 

랴오닝 다롄 사허커우(辽宁大连沙河口) 경찰은 36세의 친일 분자인 노모씨가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 반중만화를 유포하고, 반중과  국가 이미지를 먹칠하는 발언을 지속적으로 했다며 체포했다.

 

경찰 조사결과 노씨는 해외 친일 집단과 국내 청소년들에게 친일반화(親日反華) 사상을 전파하여, 청년들을 꾀어 친일 집단에 가입하도록 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해 불법 단체 조직을 설립하고 범죄 활동에 종사하여 일본 군국주의의 사상을 침투하려 했다.

 

안후이성 화이난에서는 일본 만화에 영향을 받아 일본 문화를 극도로 숭배가 뚜렷한 친일반화 경향이 있는 장모(22)씨가 경찰에 체포했다. 경찰은 장씨가 '돼지머리 인신' 시리즈의 중국인 모독 만화 300여개를 만들어 인터넷에 게재하자, 랴오닝성 노씨가 이를 퍼 날랐다고 밝혔다.

 

 

경찰은 장모씨의 행동이 민족감정에 큰 상처를 주고 민족의 존엄을 짓밟는 등 사회적 파장이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후베이 우한경찰과 이창경찰도 각각 24세 장모씨와 17세 이모씨를 체포했다. 장씨는 반동 루머, 개인 신상 정보, 사이버 폭력을 가하여 다른 사람을 협박하고 민족적 원한을 선동하며 국가 이미지를 희화화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씨는 잘못을 시인하는 태도가 좋고 다른 친일파의 범행 단서를 넘겨줘 비판교육만 받았다.

 

안후이 숙송경찰은 강서간주적자들로 구성된 개인정보 침해 범죄 집단을 적발했다. 경찰은 2018년 10월 예모씨와 서모씨, 유모씨, 료모씨를 체포했고, 법원은 올해 3월 이들에게 형벌을 선고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