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 70년만에 가처분소득 288배 증가

1인당 예금 117위안…엥겔계수 '부유 수준'에 도달

소득이 증가하면서 중국 국민 1인당 가처분소득이 70년만에 28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엥겔계수는 28.4%로 1978년보다 35.5%포인트 낮아져 부유 수준에 도달했다.

9일 중국 대륙 언론 제1재경에 따르면 70년 동안 1인당 주민 가처분소득이 288배로 늘고, 부유 정도를 대표할 수 있는 엥겔계수가 40포인트 가까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개인 또는 가구의 엥겔계수가 19% 및 그 이하가 가장 부유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에서 29%는 부유한 수준이고, 30%~39%는 상대적으로 부유하고 40%~49%는 샤오캉(小康) 수준이다.

 

1952년 전국 국민저축의 연말 잔액은 8억6000만위안(1위안약 0.14달러), 1인당 예금은 1.5위안에 불과했지만 1978년에는 210억6000만위안, 1인당 21.9위안으로 증가했다. 개혁 개방 이후 주민 예금이 급성장하면서 1984년 저축예금은 처음으로 1000억 위안을 돌파해 1214억7000만위안을 기록했고 1인당 예금도 처음으로 100위안이 넘어 117위안을 기록했다.

 

쑤젠(苏剑) 베이징대학교 국민경제연구센터 주임은 "주민 소득 증가는 소비구조 개선의 근본 요인"이라고 말했다. 소득이 증가하면서 '사치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소득 증가 비율보다 크면 소비 업그레이드가 이뤄진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