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터 “중국 경제 하향 압력 가속화”

7월 산업 증가속도 17년 만에 최처치로 떨어져

중국의 7월 산업 증가 속도가 17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로이터통신이 경제 하향 압력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6월 자동차 판촉에 따른 소비 고성장이 7월에는 제자리걸음을 했지만 자동차를 뺀 사회적 소비재의 소매판매는 증가세가 안정돼 앞으로도 소비가 안정될 것이라고 14일 보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7월 도시 조사 실업률 상승은 주로 대학생 졸업시즌의 영향이기 때문이고, 고용이 안정되어도 경기 침체에 따른 고용 충격은 여전히 경계해야 한다. 고용안정이 중국 정부의 기조인 만큼 앞으로 경제하향 압력이 높아져 일자리에 충격을 준다면 정책적 보완책이 필요하다.

 

광대보더신펀드 수석 애널리스트인 츄우창(邹强)은 “하향 압력이 우리의 연중 전망보다 더 뚜렷하다”며 “생산의 대폭 하락과 단기 대출, M1의 현저한 하락으로 기업 경영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정책이 적극적으로 나올 것인지 여부다. 츄우창 애널리스트는 “일자리에 문제가 생기면 정책이 나와야 하는데, 아직도 이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집계 결과 7월 규모 이상의 공업 증가치가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했지만 로이터 예상가중치 5.8%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2년 2월 2.7%이후 최저치다.

사회소비재 소매판매도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지만 로이터 조사 예상치 8.6%를 밑돈다. 이는 2019년 4월 이후 최저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