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역전쟁에도 中고용시장 보합세

제조업 일자리 감소하지만 서비스업이 흡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전쟁으로 중국의 일자리 감소를 자랑하고 있지만 중국의 고용시장은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BC는 30일 중국이 금융과 기술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서비스 기반 경제로 더 많이 이동하면서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장기적인 추세이며, 이런 전환은 무역전쟁이 시작되기도 전에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산업 부문의 일자리 감소와 경제 다른 부문의 일자리 증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중국의 제조업 부문은 인건비가 싼 나라들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다. BBC는 중국 정부가 특히 도시 취업을 늘리는 것을 중시해왔다고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메리 롤리(Mary Lovely)가 "일자리 감소는 가능하지만 문제는 도대체 그 원인이 무엇이냐"고 지적했다.

 

영국 경제학자 싱크탱크의 한 중국 경제분석가는 도시서비스업계가 공장 폐쇄로 빈둥빈둥 놀고 있는 노동력을 대거 흡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근로자들도 연안성에서 안후이와 쓰촨, 허난과 같은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들 지방의 업종도 날로 성장하고 있다.

 

세계은행 자료를 보면 중국의 2018년 노동력은 약 7억8800만명으로 추산된다. BBC는 중국 정부가 발표한 공식 통계를 인용해 2018년 전국 도시 등록 실업률이 3.8%로 2002년 이후 가장 낮았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