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전쟁 타결되나

트럼프 “중간합의 가능성도 배제 않는다”

강대강으로 치닫던 미중 무역전쟁이 평화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완전한 무역 합의를 원한다"며 "중국과의 중간 합의가 선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든지 중국과 무역협정을 맺을 수 있지만, 동시에 미국은 두 가지 시나리오가 준비되어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금요일 미국으로부터 콩, 돼지고기 등 농산물을 일정량 수입한다고 밝혔다.
중국 측은 이번주 수요일에 첫 16개 미국 제품의 통관을 1년간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화답해 오는 10월1일로 예정됐던 2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 5%포인트 인상 조치를 15일로 미뤘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목요일에 조기 잠정 합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경제무역팀은 다음주에 워싱턴에서 만날 것이며, 일찍이 트럼프는 홍콩시위를 협상의제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무누신 재무장관은 홍콩시위 의제가 무역협상의 일부가 아니라고 말했다. 미·중 쌍방의 무역 협상이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