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제로금리 국가 될 수 있을까

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 지나치게 높아 가능성 커

전 세계적으로 돈이 넘쳐 나면서 돈의 가치가 땅에 떨어진지 오래다. 한마디로 ‘제로금리’ 시대다. 제로금리는 내수를 자극해 경기를 회복시키고 기업의 채무 부담 등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이자소득에 기대에 사는 노년층의 소비가 위축될 수 있고 투자처를 부동산에 집중시켜 주택가격 폭등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일본이 1999년 제로금리정책을 선언하면서 유럽 국가들이 뒤를 잇고 있다.

 

중국도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의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등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제로금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가금융발전연구소와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6월 중국 기업부문 부채 비중이 명목 GDP 대비 또한 비금융기업의 레버리지율은 155.7%로 전년 말보다 2.2포인트 높아지고 정부부문 레버리지율 (38.5%)와 주민부문 레버리지율(55.3%)보다 활씬 크다. 기업부문 채무 가운데 융자난을 겪고 융자가 비싼 민영기업의 채무 비중이 30% 가까이 된다.

 

중국 경제학 전문가 주혜빈은 15일 푸단대학교(复旦大学)경제학원에서 열린 학술살롱에서 “세계의 주요 고채무 선진국에서 정책금리가 하락하고 있고 중국을 제외하고 제로금리 다 나왔었다”며 “중국 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이 너무 높아 신규 신용대출의 효율적 수요를 밀어내고 있고, 그래서 중국이 다음 제로금리 국가가 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중국의 총 채무는 명목 GDP의 2.6~2.7배 정도로 높지만 외채 수준은 10~15% 정도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참고기준에 따르면 현재 3조위안에 이르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잠재적 위기에도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

 

IMF가 권고하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조2000억달어에서 3000억달러 선. 중국은 오랜 기간 이 수준보다 훨씬 높았다. 현재 이 숫자는 하향 조정되어 있고 마침 합리적인 구간에 있기 때문에 논리상 중국은 아시아 금융위기 같은 상황이 없을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