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분기 출생아 수 7만명대…’3분기 기준 역대최소’

합계출산율 0.88명에 그쳐

올해 3분기(7~9월) 출생아 수가 7만명대를 유지하며 3분기 기준 역대 최소 기록을 달성했다. 합계출산율은 0.88명으로 조사됐다.

이대로라면 올해 전체 합계출산율도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0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통계청은  '2019년 9월 인구동향'을 통해 3분기 전국 출생아 수가 7만3천793명으로 지난해 동기간보다 6천687명(8.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3분기 기준 최소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3분기 0.88명으로 작년 동기간보다 0.08명 감소했다.

 

합계출산율도 2008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3분기 기준 최저치를 달성했다.

앞서 합계출산율은 작년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96명, 0.89명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1분기 1.01명으로 회복했으나 2분기 0.91명, 3분기 0.88명으로 내려앉은 바 있다.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으로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통상 4분기에 출산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올해 합계출산율은 작년에 이어 또다시 1.0명을 하회할뿐더러 작년(0.98명)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한편 3분기 사망자 수는 7만412명으로, 지난해 동기간보다 317명(0.4%) 줄었다. 연령별로는 8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남성은 17.1%, 여성은 42.3%로 작년 동기간 대비 각각 1.0%포인트, 1.4%포인트 늘었다.

 

3분기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제외한 인구 자연증가분은 3천380명으로 작년 3분기(9천751명)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결혼하는 부부의 수도 감소하고 있다.

3분기 혼인 건수는 5만3천320건으로 작년 동기간보다 460건(0.9%) 줄어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소였다.

반면 3분기 신고된 이혼은 2만7천571건으로 1년 전보다 1천125건(4.3%) 늘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