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역 일대 재탄생 된다…”핵심시설 8개 문 열어”

박 시장,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성공모델 만들어나갈 것"

서울 중심부 서울역 일대가 도시재생으로 새롭게 문을 연다.

 

28일 서울시는 서울역 일대 서계·중림·회현동 '앵커시설' 8곳이 오는 28일 재탄생한다고 발표했다. 앵커시설은 경제자유구역이나 행정중심복합도시처럼 도시재생에 활력을 불어넣을 만한 핵심 자족 시설을 말한다.

 

새롭게 문을 여는 공간은 복합문화공간 '중림창고', 문화예술공간 '은행나무집', 마을 카페 '청파언덕집'과 '계단집', 공유 부엌·서가 '감나무집', 봉제패션산업 거점공간 '코워킹팩토리', 도시형 마을회관 '회현사랑채', 쿠킹스튜디오 '검벽돌집' 등이다.

 

시는 “이들 공간은 '재생'의 매력을 살리기 위해 일반 주택과 건물을 매입한 후, 리모델링과 신축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며 “공공건축가가 참여해 서울역 일대 저층 구릉지의 장점과 특성을 살렸다”고 밝혔다.

 

시는 이 가운데 다양한 분야 크리에이터들이 함께 활동할 전시·판매·문화 활동 공간 '중림창고'를 대표적 앵커시설로 선정했다.

중림창고는 중구 중림동 441-1번지의 지하 1층, 지상 2층에 연면적 267.3㎡로 지어졌다. 이 공간에서는 매달 가장 화제가 되는 책의 저자를 초청해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책을 읽는 '심야책방', 일상과 브랜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심야살롱' 등의 활동이 진행될 계획이다.

 

각 시설 운영은 서울역 일대 지역 주민이 공동출자해 만든 도시재생기업(CRC)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과 컨소시엄 '서울역 해피루트456'이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4월 결성된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은 조합원의 70%가 중림·회현·서계동 주민이며 나머지 30%는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한 활동가들로 구성됐다. 조합원들은 5만∼200만 원씩 출자했다.

 

시는 오는 28일 오후 2시 중림창고 개관식을 시작으로 30일까지 8개 시설에서 다양한 개관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지는 서울역, 중림동, 회현동, 서계동, 남대문시장 일대 총 5개 권역의 195만㎡다.

시는 철도로 단절된 서울역 일대 동·서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2017년 12월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에 '서울로 7017'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 재생을 진행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앵커시설 출범에 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활성화 거점을 확보했다"고 평가하고 "서울로 7017 개장 이후 주변 지역이 활성화하는 만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성공모델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