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의약품 점자 표시 가독성 낮아…’불편 이어져’

점자 표시 안 된 의약품들도 많아

 

의사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과 안전상비약품에 점자 표시가 제대로 돼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4일 한국소비자원은  58개 의약품의 점자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27.6%인 16개에만 점자 표시가 있었다고 발표했다.

조사대상 가운데 일반의약품 45개 중 73.3%인 33개가 점자 표시가 없었고, 안전상비의약품은 13개 중 9개(69.2%)가 점자가 표시되지 않았다.

 

또한 점자 표시가 돼 있는 의약품들도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비자원이 의약품 총 32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1개 의약품에 표기된 점자의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대상은 표시실태 조사에서 점자 표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16개 의약품과 2017년 국립국어원의 점자표기 기초조사에서 확인된 16개 의약품 등이었다.

 

뿐만 아니라 관련 규정에서 제품명과 업체명, 사용설명서의 주요 내용 등을 점자로 표시하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32개 중 23개 제품은 제품명만, 4개 제품은 제품명과 업체명만 포함했다.

나머지 5개 제품은 가독성이 낮아 제품명 확인이 불가능했다.

 

반면 유럽연합은 2004년 의약품 외부 포장에 제품명을 점자로 표시하도록 의무화했고, 미국은 의약품 포장 관련 산업 협회와 점자 단체가 협력해 2009년부터 점자 표시 가이드라인을 제정한 바 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의약품 점자 표시 가이드라인 제정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