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작년 3040 일자리 13만개 ‘감소’…60대 이상은 25만개 ‘늘어’

남성 일자리 점유율 여성 대비 더 높아

작년 30대와 40대 일자리가 13만개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는 25만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일자리가 빠르게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남성의 일자리 점유율이 58.3%로 더 높았고, 특히 대기업 등 영리기업에서 남성 비중이 두드러졌다.

 

5일 통계청은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일자리는 총 517만개로 전년보다 8만개 줄었으며, 40대 일자리는 5만개 줄어든 606만개를 기록했다.

19세 이하에서도 신규채용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총 3만개 감소하면서 19만개에 머물렀다.

 

반면 60대 이상은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였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2016년 273만개에서 2017년 298만개, 지난해 323만개로 매년 25만개 이상 증가하고 있다. 50대의 경우 14만개 늘어난 545만개였고, 20대는 고작 2만개 늘어난 332만개인것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치다.

 

전체 일자리가 전년대비 26만개 증가했지만, 대부분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45.3세로, 전년보다 0.4세 올랐다.

 

한편 지난해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는 1천365만개로 전체의 58.3%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여성 일자리는 전년보다 24만개 증가했으나 977만개에 그쳤다.

신규채용 일자리에서도 남성의 비중이 53.8%(324만개)였고, 여성은 46.2%(279만개)에 그치며 격차를 보였다.

 

또한 20대 남자 일자리는 168만개(50.7%), 여자의 경우 164만개(49.3%)지만 30대 들어서는 남성 일자리가 314만개(60.7%), 여성이 203만개(39.3%)를 기록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남녀가 점유한 일자리 규모가 비슷하지만, 30대에부터는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이다. 40대와 50대에는 여성 일자리 비중이 각각 41.4%, 41.6%로 30대보다는 남녀 일자리 수 격차가 좁아진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일자리가 603만개(25.3%)로 가장 많았으며, 1년 미만도 484만개(20.7%)였다. 이어서 2년 이상 3년 미만은 358만개(15.3%), 5년 이상 10년 미만은 290만개(12.4%) 순이었다.

 

이는 5년 이상 근속 일자리를 모두 합하더라도 624만개(26.6%)에 그치는 결과다. 결과를 바탕으로 따진 평균 근속기간은 4.8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증가폭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정부·비법인단체의 근속기간이 평균 9.6년으로 가장 길었고, 회사 이외 법인의 근속기간은 6.0년, 회사법인은 4.9년, 개인 기업체는 2.6년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7.5년이었고, 평균연령은 40.3세를 기록했다. 또한 중소기업은 3.1년, 비영리기업은 7.9년이었다.

연령별로는 대기업에서는 30대 비중이 31.2%(115만개)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서는 40대가 25.5%(382만개)로 가장 많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