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작년 3040 일자리 13만개 ‘감소’…60대 이상은 25만개 ‘늘어’

남성 일자리 점유율 여성 대비 더 높아

작년 30대와 40대 일자리가 13만개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는 25만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일자리가 빠르게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남성의 일자리 점유율이 58.3%로 더 높았고, 특히 대기업 등 영리기업에서 남성 비중이 두드러졌다.

 

5일 통계청은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일자리는 총 517만개로 전년보다 8만개 줄었으며, 40대 일자리는 5만개 줄어든 606만개를 기록했다.

19세 이하에서도 신규채용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총 3만개 감소하면서 19만개에 머물렀다.

 

반면 60대 이상은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였다.

60세 이상 일자리는 2016년 273만개에서 2017년 298만개, 지난해 323만개로 매년 25만개 이상 증가하고 있다. 50대의 경우 14만개 늘어난 545만개였고, 20대는 고작 2만개 늘어난 332만개인것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치다.

 

전체 일자리가 전년대비 26만개 증가했지만, 대부분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45.3세로, 전년보다 0.4세 올랐다.

 

한편 지난해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는 1천365만개로 전체의 58.3%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여성 일자리는 전년보다 24만개 증가했으나 977만개에 그쳤다.

신규채용 일자리에서도 남성의 비중이 53.8%(324만개)였고, 여성은 46.2%(279만개)에 그치며 격차를 보였다.

 

또한 20대 남자 일자리는 168만개(50.7%), 여자의 경우 164만개(49.3%)지만 30대 들어서는 남성 일자리가 314만개(60.7%), 여성이 203만개(39.3%)를 기록했다.

20대 이하에서는 남녀가 점유한 일자리 규모가 비슷하지만, 30대에부터는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이다. 40대와 50대에는 여성 일자리 비중이 각각 41.4%, 41.6%로 30대보다는 남녀 일자리 수 격차가 좁아진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일자리가 603만개(25.3%)로 가장 많았으며, 1년 미만도 484만개(20.7%)였다. 이어서 2년 이상 3년 미만은 358만개(15.3%), 5년 이상 10년 미만은 290만개(12.4%) 순이었다.

 

이는 5년 이상 근속 일자리를 모두 합하더라도 624만개(26.6%)에 그치는 결과다. 결과를 바탕으로 따진 평균 근속기간은 4.8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증가폭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정부·비법인단체의 근속기간이 평균 9.6년으로 가장 길었고, 회사 이외 법인의 근속기간은 6.0년, 회사법인은 4.9년, 개인 기업체는 2.6년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7.5년이었고, 평균연령은 40.3세를 기록했다. 또한 중소기업은 3.1년, 비영리기업은 7.9년이었다.

연령별로는 대기업에서는 30대 비중이 31.2%(115만개)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서는 40대가 25.5%(382만개)로 가장 많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