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처음으로 서울시 ‘노후아파트’보다 ‘신축아파트’ 가격 더 올라”

직방, “분양가 상승, 신축 아파트 선호도 상승이 원인”

서울 입주 5년 이하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올해 처음으로 입주 30년 초과의 노후 아파트 가격보다 올랐다.

 

9일 부동산정보서비스업체 직방은 올해 서울에서 3.3㎡당 매매가는 신축 아파트 3천530만원, 노후 아파트 3천263만원으로,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가 0.92배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앞서 서울의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3.3㎡당 매매가는 2013년 1.42배, 2014년 1.40배, 2015년 1.34배, 2016년 1.22배, 2017년 1.18배, 2018년 1.06배 등으로 가격 격차가 줄어들었던 바 있다. 하락세가 지속되다 올해 신축 아파트보다 가격이 낮아진 것이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있는 '한강맨션'(1971년 입주)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6천935만원에서 올해 6천928만원으로 하락했다. 반면 같은 지역인 용산구 이촌동의 '래미안 첼리투스'(2015년 입주)는 3.3㎡당 평균 매매가가 작년 4천970만원에서 올해 들어 5천692만원으로 올랐다.

 

기존에는 재건축·재개발로 투자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심리 때문에, 노후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새 아파트보다 높았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각종 규제 정책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새 아파트의 희소성,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며 노후 아파트보다 새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강남권 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2015∼2018년 1.23∼1.26배를 유지하다가 올해 1.01배까지 가격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강남권과 더불어 집값 상승을 이끄는 마포·용산·성동구(마용성)의 3.3㎡당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매매가는 0.89배로, 신축 아파트가 노후 아파트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강남권 3구와 마용성 지역 이외의 서울은 2017까지 노후 아파트가 신축 아파트보다 거래 가격이 높았으나, 작년부터 가격 역전 현상이 발생해 올해 0.86배로 격차가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기도는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지난해 0.87배에서 올해 0.79배로 신축 아파트가 가격 상승폭을 그리고 있다.

직방은 “시도별로도 제주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노후 아파트보다 신축 아파트가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분양가가 상승하고,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