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임원 자리 매년 감소해…삼성 4년간 356명↓

전체 임원 감소, 여성 임원 꾸준히 증가해

'기업의 별'로 불리는 임원 자리가 국내 30대 기업에서 매년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대기업 총수 일가의 세대교체, 최근 이어진 실적 부진 속 인원과 조직개편 등을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었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11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는 9월 말 현재 국내 30대 그룹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작년과 비교할 수 있는 262개사의 공시 임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임원 수는 9천742명이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4년 전인 2015년 9월 말(9천795명)대비 53명(0.5%) 줄어든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장 많은 임원이 감축된 기업은 삼성이었다. 2015년 9월 말 21개사에 2천276명이던 임원 규모는 올해 1천920명으로 356명(15.6%) 줄었다.

이어 두산(-144명, 39.0%), 현대중공업(-111명, -38.5%), 포스코(-44명, 17.1%), GS(-24명, 7.9%), 하림(-23명, 18.7%), 대림(-22명, 13.1%), 미래에셋(-21명, 7.9%), 금호아시아나(-15명, 17.9%), 한진(-13명, 7.0%) 등의 순이었다.

 

반면 임원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현대자동차로 202명(16.9%) 증가했다. 이어 롯데(82명, 15.6%), SK(79명, 9.3%), LG(73명, 8.8%), CJ(48명, 19.8%), KT(46명, 23.6%), KT&G(33명, 71.7%) 등의 순이었다.

다만 현대차그룹은 4월 1일 자로 이사대우와 이사, 상무를 상무로 단일화해 기존 6단계 임원 직급을 4단계로 변경한 것이 사업보고서상 임원 수 증가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개별 기업으로는 삼성전자(-131명, 11%)의 감소가 가장 돋보였다. 이어 두산중공업(-82명, 54.3%), 삼성물산(-77명, 32.4%), 삼성중공업(-56명, 50.9%), 삼성SDI(-44명, 32.8%), 현대건설(-36명, 27.3%), 롯데쇼핑(-30명, 19.9%), 기아자동차(-28명, 15.4%), 두산인프라코어(-26명, 33.3%), SK건설(-25명, 27.8%) 등의 순이었다.

 

임원이 증가한 개별 기업은 현대자동차(192명, 70.6%)를 비롯해 LG화학(55명, 57.3%), 현대카드(45명, 160.7%), SK하이닉스(44명, 30.3%), 현대캐피탈(40명, 114.3%) 등의 순이었다.

 

한편 전체 임원은 줄었지만, 여성 임원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9월 말 기준으로 여성 임원은 336명으로 전체의 3.5%였다.

4년 전과 비교했을 때 남성 임원은 9천577명에서 9천406명으로 171명(1.8%) 감소했으며, 여성 임원은 218명에서 336명으로 118명(54.1%) 늘었다.

 

CEO스코어 측은 “현재 진행되는 2020년 대기업 임원 인사에서 주요 기업들이 임원을 줄였거나 줄일 예정이어서 이런 임원 감소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