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앙코르 와트 유적지 복구 지원

14만2000㎡의 구역 2030년 완료 예정

중국이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 복구 프로젝트에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세 번째인데, 발굴과 조사, 복구 방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중국과 캄보디아 정부 앙코르 와트 유적 보호 작업팀은 14일 앙코르 와트 왕궁 유적 복구 프로젝트가 11월 본격 시작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앙코르 와트 유적지에서 세 번째 보호 복구 지원을 했다. 이번에는 왕궁 성벽 내 약 142000의 구역을 포함해 2030년 준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복구 작업 시작 전 작업팀은 전문적인 기술수단을 통해 왕궁의 환경, 문물건축물 보존현황을 실지 조사하고 고고학적 작업 방안과 복구방안, 석각보호와 생물병해 보호방안을 마련하였다.

 

중국 정부와 왕궁 복구 프로젝트는 고고탐사와 발굴 연구, 문물건축 및 유적수선, 석질문화재 보호 및 생물병해 방지, 중국과 캄보디아 합동실험실 건설, 환경복원 등 몇 가지로 복구 예정이다. 작업팀은 전면적인 계획을 세워 다방면 학문 분야의 복구 프로젝트를 총괄적으로 조정하고 '최소관여' '고고선행' 이념을 실제로 행하여 건물 보호 복구를 뒷받침하고 유적지 복구를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 유적지 보호와 관리 기구 론고사(隆戈萨) 대변인은 지난 20여 년간 중국 작업팀이 앙코르 유적지를 보호하는 데 많은 경험을 쌓았으며, 이 프로젝트는 중국 작업팀의 기술, 이념, 태도를 양국 모두 인정하고 양국의 문화 교류가 더욱 긴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