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인 부부, 코로나19 확진

해외여행 하지 않은 지역 내 감염

해외여행을 하지 않은 80대 부부가 코로나19 감염자로 확인되면서 한국 정부가 비상이다.

이들 부부는 해외여행을 하지 않아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첫 ‘깜깜이 환자’라는 점에서 감염경로가 밝혀지느냐 마느냐에 따라 향후 방역태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들 부부가 접촉한 이들이 1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16일 방역당국과 연합통신 등에 따르면 한국에서 29번째와 30번째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다. 이들은 부부 사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17일 “남성인 29번째 환자는 15일 가슴통증 등으로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확진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응급실에서 폐의 문제를 발견해 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현재 이 환자의 부인 역시 확진판정을 받은 상태다. 이들 부부는 최근 해외 여향을 하지 않았다. 이 경우 이 부부는 지역에서 모르는 사이 감염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즉 지역감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지역 감염이 경로관리가 되지 않으면 대형 감염 사태를 낳을 수 있다.

이에 우리 역시 외국인의 출입국을 잠정 봉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출입 봉쇄조치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중국은 강력한 봉쇄조치로 코로나에 대응하고 있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는 속담이 있다”며 “중국은 한국의 가까운 이웃이며, 중국의 어려움은 한국의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장 대사는 “한국은 중국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과 협조를 계속할 것”이라며 “중국은 분명히 여려움을 극복하고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원석기자Myphoto@haidongzhoumo.com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