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 HIV와 유사한 변이…'세포결합' 사스의 최대 1천배"

중국 연구진, 중국과학원 과학기술논문 예비발표 플랫폼에 게재


 

코로나 19는 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의 합체형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인간 세포와 결합하는 능력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바이러스보다 최대 1천배 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코로나 19에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유사한 변이가 있다는 게 연구진의 주장이다.

 

27일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톈진(天津) 난카이(南開)대 연구팀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을 중국과학원 과학기술논문 예비발표 플랫폼(Chinaxiv.org)에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난카이대 연구팀은 롼지서우(阮吉壽) 교수가 이끌고 있다. 이 플랫폼에는 피어리뷰를 거치기 전 단계의 논문들이 사전 발표 된다. 지난 14일 발표된 이 논문은 해당 플랫폼에서 최다 열람 횟수를 기록 중이라고 SCMP이 보도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사스는 바이러스가 인체의 바이러스 수용체 단백질인 ACE2와 결합하면서 발생한다. 사스와 유전자 구조가 80% 유사한 코로나19도 비슷한 경로로 인간의 몸에 전파되는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2003년 사스 확산이 제한된 것은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ACE2 단백질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학자들의 분석이었다. 이 같은 사스나 코로나와 달리 HIV나 에볼라 등의 바이러스는 인체에서 단백질 활성제 역할을 하는 '퓨린' 효소를 공격해 신체내로 침입한다.

 

이번 연구는 좀 더 진일보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게놈(genome·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해 나온 것이다. 연구진은 코로나 게놈(genome·유전체) 서열에 사스에 없지만 HIV나 에볼라와 유사한 유전체 변이가 관찰됐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연구결과 코로나19의 감염 경로가 사스와 명확히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세포에 붙는다. 다수의 단백질이 생성단시 비활성이듯 이 단백질도 비활성 상태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분할지점'(cleavage site)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는 주장했다. 이는 과거 사스 바이러스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분할지점 때문에 '퓨린'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절단'해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와 세포막이 '직접 결합'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현상이 코로나 19의 감염성이 사스에 비해 강한 이유일 수 있다고 분석햇다.

 

연구진은 또 이러한 결합방식을 쓰면 "사스보다 100배에서 1000배 더 효율적으로 인간의 세포에 침투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SCMP는 이 논문내용과 유사한 실험이 화중과기대학 리화 교수 연구팀에 의해 관찰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변이는 사스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또 코로나19와 유전적으로 96% 유사해 코로나19의 전염원으로 추정되는 박쥐 코로나바이러스(Bat-CoVRaTG13)에서도 관찰되지 않는다고 논문은 지적했다.

 

이에 리 교수는 퓨린 효소를 타깃으로 한 HIV치료제 등의 약물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중국과학원 소속 베이징(北京) 미생물연구소의 한 연구진은 관련 연구들에 대해 "모두 유전자 서열에 근거한 것뿐"이라고 지적했다. 바이러스가 예상처럼 움직일지는 실험 등 다른 증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정연기자·선양=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