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독일 총리 통화서 "시장 개방 추진해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시장을 개방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26일 인민일보는 시진핑 주석이 전날인 25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통화에서 독일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시장 개방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메르켈 총리와의 통화에서 시 주석은 "바이러스는 국경을 가리지 않는다"며 "혼자만 생각할 수 있는 나라는 없으며, 중국-독일, 중국-유럽은 전염병과의 싸움에서 협력을 보여줬다"고 했다.

이어 "중국은 독일 등 각국과 공조를 강화해 어려움을 이겨내며 국제사회가 자신감을 높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 "지금과 미래, 국내와 세계 영향을 모두 염두에 둬야 한다"며 "거시 경제 정책 조율을 강화하고, 시장·성장·고용·민생 안정을 도모해 글로벌 공급 사슬 개방과 안정 확보를 위한 시장 개방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메르켈 총리는 "지금 유럽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독일은 방제 조치를 단호하게 취하는 중"이라며 중국과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등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 G20 회원국들은 공조 강화를 통해 국제 경제를 안정화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정연/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