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캐나다정가, “중국이 코로나 위험성을 은페했다" 중국비난론 고조.

튀루도 총리, '중국에 대해 비난할 때가 아니다' 며 중국과의 협조 강조.

 

캐나다 정가의 유력 인사들이 연일 , 중국이 전염병을 숨겼다고 주장하며 캐나다 언론과 함께 중국의 책임을 부각하는 가운데,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중국과의 협력필요성을 내세우며 캐나다 국내에 반중국정서가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당사자인 중국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한채,  중국대사관을 통해 캐나다 일부 정치인들이 미국과 함께 중국책임론에 가세하고 있다며 반박 성명으로 대응하고 있다.

 

캐나다의 토론토 선지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여당 자유당소속의 전 법무 장관인 어윈 코틀러 (Irwin Cotler)는,  22일 중국이 전염병을 숨기는 것에 대해 정부의 제재를 요구했으며, 국가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도 지지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코로나 19의 판데믹현상을 국내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중국을 중상모략하려는 시도라며 반박성명을 발표했다.

 

어윈 콜러 전 연방 자유당 법무부 ​​장관은, 캐나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코로나 역병발발 초기에 관련 위험성의 정도를 매우 낮춰 발표하는 바람에,  세계 각국이 미리 더 많은 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고 현지언론들이 전했다.

 

올해 80인 고령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정계에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콜러 전 법무부 장관은, 자국의 세르게이 마그 니츠키 법에 따라서,  전염병의 위험성을 숨기고있는 중국 관리들을 조사하고 제재할 수 있다며, 관련 조치를 조속히 시행할 것을 캐나다 정부에게 촉구해왔다. 

 

콜러 전 장관이 언급한 캐나다 관련 법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전 세계의 인권을 침해한 자에게, 자산 동결 및 여행 금지를 요구 할 수 있도록 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방 보수당의 지도자인 앤드류 쉬어 (Andrew Scheer)도,  중국이 전염병의 위험성을 숨겼다는 여러 징후가 적지 않다고 콜러 전 장관에 동조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토론토 선지가 보도했다.

 

그는,  세계 보건기구까지 중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캐나다 자유당 정부가 세계 보건기구의 잘못된 조언을 받을 수 밖에 없었는데도, WHO 대표들이 캐나다 의회의 청문회장에 출석을 거부했다며, 강도높게 세계보건기구를 비난했다.

 

캐나다 하원의 보건위원회 (House Health Committee)는,  지난주 캐나다 출신 의사로, WHO와 중국조사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한 부르스 아일워드 ( Bruce Aylward) 의 출석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한 바 있다.

 

그러나 캐나다 외무부은 성명을 통해 , 캐나다정부는 이와 같은 대중국 비난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캐나다는 코로나 19사태의 확산금지를 위해 중국과 좋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반중국여론이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고 나섰다.

 

캐나다 정가의 계속된 중국 비난에 대해  캐나다 주재 중국 대사관은, "일부 캐나다 정치인과 언론이,미국 정치인들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정치화하고, 중국에게 낙인을 찍고 있다며 강한 불만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23일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세계보건기구에 대해 만족하는지에 관해 반복된 질문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임무는 우리 정부의 중요하기 때문에, 중국을 비롯한 세계각국의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계속 이어갈 것이다"라는 원론적인 수준의 답변만 언급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