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왜 EU는 중국이 허위 정보를 유포했다고 비난하는가?

EU 대표단 장 밍 대사

 24일 EU 대표단 장밍 대사는 유럽의 싱크 탱크 학자 샤다와 온라인 전략 대화를 가졌다. 

 

 유럽 연합이 전염병 거짓 정보를 유포하였다고 중국을 비난하고, 유럽 국가들에 대한 원조를 선전하며 이를 빌미로 지정학적 논쟁을 강화한 것에 대한 질의에 대하여, 장 밍 대사는 중국 혹은 유럽에 상관없이 연민과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돕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이 전염병은 모든 인류에게 비극이며 정치적 힘 겨루기의 영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장밍 대사는 중국이 전염병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에 유럽이 중국에 지원을 했으며, 중국 언론이 이에 대해 대대적으로 보고했으며, 중국 주재 EU 대사관들은 아직까지 sns상으로 유럽위원회의 원조 성명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중국인들은 EU의 지원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이것이 정치적 활동이라고 평가하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장밍 대사는 유럽이 중국을 도왔던 것처럼 중국 또한 정치적 계산이 아닌 단합의 모습을 보이며 도왔다고 말했다.  중국은 유럽뿐 만 아니라 취약한 보건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아프리카 및 기타 지역과 협력하고 있으며, EU도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 행동이 아닌 국제 공공재를 제공하기위한 것이다.

 

 장밍 대사는 전염병이 발생한 이후, 중국은 잘못된 정보로 고통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 보건기구 (WHO)에 의하면 우리(중국)가 전염병과 거짓 정보 모두와 싸우고 있다는 것이다.  거짓 정보는 인류의 공통의 적이며, 전염병과의 싸움은 모든 해를 끼치며 이익을 얻지 못하므로 이를 막아야한다고 강조하였다. 전염병은 인간과 바이러스의 싸움이며,  사람들 사이에 또 ​​다른 전투를 시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장밍 대사는 외부 세계가 전염병 퇴치를 위한 중국의 노력에 주홍글씨를 붙이더라도, 중국은 옳은 일을 계속할 것이며 가능한 한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도움의 손길을 뻗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