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쟁을 잘하는 이는 사람을 쓰지, 쓰임을 당하지 않는다.”

“故善戰者, 致人而不致于人”
(고선전자, 치인이부치우인)

“전쟁을 잘하는 이는 사람을 쓰지, 쓰임을 당하지 않는다.”

“故善戰者, 致人而不致于人”
(고선전자, 치인이부치우인)

전쟁은 사람을 쓰는 일이다. 자신의 군대를 수족처럼 부려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게 해 적을 공격해야 한다. 경영도 마찬가지다. 조직원을 지휘해 경영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 쟁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손자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짧게 다음과 같이 조언했다.
“고로 전쟁에 잘하는 이는 사람을 쓴다. 사람에 의해 쓰이지는 않는다.”
사실 이 문장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관건은 사람이 누구냐는 것이다. 전쟁에서 사람은 적도 있지만 나의 병도 있다.
손자는 병사를 이야기 할 때 병(兵)이라 했지 사람 인(人)이라 하지 않았다.
손자는 내 편을 아(我)라 했고, 적을 적(敵)이라 했다. 이 문장에서 사람이라 한 것은 아군과 적군을 아울러 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치는 가져다 바친다는 의미다. 치명(致命)은 목숨을 바친다는 의미다.
치인은 사람을 바친다는 의미가 된다. 치우인의 우(于)는 수동태의 의미다. 사람에 의해 바쳐진다는 의미다.
간단히 직역하면 “사람을 희생시키지, 사람에 희생되지 않는다. 고로 전쟁을 잘한다고 한다”가 된다.
중국어 현대번역에는 적을 움직이도록 조정(調)하지, 적에 의해 움직이도록 조정되지 않는다고 치(致)를 조(調)로 풀이했다. 좋은 풀이지만 아쉬운 게 사람을 적으로만 해석했다는 점이다. 전쟁에서 희생시킬 수밖에 없는 것은 아군이다.
사실 적의 병을 희생물로 삼는 것은 전쟁에 승리하기 위해서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인류애에 입각해 적병의 목숨을 귀하게 여겨 아군의 목숨을 희생하게 하는 것은 누가 봐도 바보 같은 일이다.
오죽했으면 명분을 앞세우다 전쟁에 패하고 결국 나라까지 망하게 한 송나라 양공의 이야기가 지금까지 전해질까.
하지만 전쟁은 그 이상이다. 적병의 목숨은 물론이고 우리 병의 희생도 필요할 때 과감하게 할 필요가 있다. 부하들을 정말로 아낀다면 부하들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하는 것이지, 부하들의 희생이 아까워 우물쭈물하다 전쟁에 패하는 것이 아니다.
손자의 말에는 이 같은 의미도 포함돼 있다.
요즘 경영도 마찬가지다. 중요한 것은 승리요, 성공이다. 어쭙잖은 인의에 빠져 큰 일을 하지 못하면 더 큰 희생을 하게 된다.
“致人而不致于人” 마음에 새겨두면 반드시 그 쓰임이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