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왕은 화가 났다고 군을 일으키지 않고, 장군은 적이 밉다고 전투를 일으키지 않는다.”

“主不可以怒而興師, 將不可以慍而致戰”
(주불가이노이흥사, 장불가이온이치전)

“왕은 화가 났다고 군을 일으키지 않고, 장군은 적이 밉다고 전투를 일으키지 않는다.”

 

“主不可以怒而興師, 將不可以慍而致戰”

(주불가이노이흥사, 장불가이온이치전)

 

손자의 조언이다. 전쟁에 임하는 주인과 장군의 태도를 잘 짚었다.

뜻은 간단하다. “왕이 화가 났다고 군을 일으키면 안 되고, 장국은 감정에 휘둘려 전투에 나서지 않는다.”

전쟁은 나라의 존망이 걸린 일이다. 전투는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일이다. 이런 일을 국왕이나 장군이 화가 났다고 벌이면 안 되는 것이다.

역시 오늘날 최고경영자나 나랏일을 하는 정치인들이 알았으면 하는 명구다.

나라의 존망이 달린 일을 결코 감정에 치우쳐 결정을 하면 안 된다. 나라의 일은 철저한 계산과 냉철한 판단으로 해야 한다.

감정으로 나라의 일을, 회사의 일을 결정하면 그 순간부터 최악의 결과가 확정이 된다.

설사 운 좋게 최악의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그 것은 일순간의 일일뿐이지 상시적인 것이 아니다. 감정적인 결정은 열의 아홉은 항상 결과가 나쁘다.

어떻게 감정에 치우지 않을 수 있을까?

앞서 손자는 장의 덕목으로 지혜와 인자를 꼽았다. 지혜의 지가 여러 사람의 지식을 구하는 것이고, 인자의 인이 다른 사람을 자신처럼 생각하는 것이라 설명했었다.

회사 다른 사람을 자신처럼 생각하고, 그 다른 사람들의 지혜를 구하려 하면 저절로 격했던 감정이 추슬러진다.

장자(將者)의 덕목을 갖추면 절로 어리석은 판단을 하지 않는다. 흥분해서 감정에 치우쳐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다시 한 번 손자의 조언을 되새겨 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