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 2차역습 확진환자 180명 넘어…베이징 준 봉쇄조치로 확산억제

 

중국 수도 베이징(北京)을 2차로 강습한 코로나19 집단 감염사태가 오늘로 8일째 계속되면서, 그동안의 확진환자수가 무려 180명으로 증가했다.

 

코로나 19에 대한 총괄기관인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8일 전국에서 32명의 감염자가 최종 확진자로 판명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아직 사망자가 생기지는 않고 있다.

 

국가 위생건간위원회가가 특별히 경계하는 이유는 수도 베이징에서만 25명의 확진환자가 나왔다는 사실때문이다.

 

베이징과 인접한 허베이(河北)성과 랴오닝(遼寧)성에서의 확진환자는 각각 2명과  1명뿐이어서 크게 대비된는 상황이다.

이렇게 확진된 환자수 이외에도, 무증상 감염자가  18일 하루에만 무려 5명으로 확인됐다.

 

중국의료당국은 무증상 감염자는 발생통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지난 11일 처음 1명의 확진자가 생긴 이래 18일까지 매일 2-30명대의 신규확진자들이 연달아 확인되면서 지난 일주일 동안 베이징은 다시 강력한 봉쇄조치를 시행했고,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중국매체들이 전했다.

 

지난 13일과 14일 36명의 최고였던 추세가 20명대로 내려오기는 했다.

 

하지만 중국방역당국은 베이징 환자발생이 0명이 될 때까지 베이징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현재 베이징 밖으로 여행하려면, 일주일 이내에 핵산검사를 받고 음성이라는 증명을 제출해야 베이징을 벗어날 수 있다.

 

박정민기자,연합뉴스(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