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미국 자의적 제재…세계 관련산업에 심각한 충격"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가 자사를 겨냥한 미국의 제재 강화에 "화웨이 한 기업뿐 아니라 전 세계 관련 산업에 심각한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반발했다.

 

18일 중국매체 신랑(新浪)과학기술 등에 따르면 화웨이는 이날 성명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반도체산업 등 전 세계적 협력의 신뢰 기반이 파괴될 것이다. 또 산업 내부의 갈등과 손실은 더 심해질 것"이라면서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지난 15일 자국의 반도체 관련 기술을 일부라도 활용하는 회사에 대해, 화웨이가 설계해 주문하는 반도체 제품을 만들어 팔려면 반드시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새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이 결정은 자의적이고 치명적이며, 전 세계 산업 전체를 훼손할 위험이 있다"면서 "미국 정부가 외국 선진기업을 공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 세계 화웨이 이용자·소비자의 권익을 외면했다. 이는 미국이 주창해온 '사이버 안보'와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화웨이는 또 "미국이 자신들의 기술적 우위를 이용해 타국 기업을 억압한다면 미국 기술요소를 사용하는 데 대한 타국 기업의 신뢰만 약해질 것"이라면서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업무상 영향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며, 고객사와 공급업체들도 함께 차별적 규정에 따른 악영향을 없애기 위해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위청둥(余承東) 화웨이 소비자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보다 직접적으로 미국의 제재를 비난한 것으로 전해졌다.

 

IT즈자(之家)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위 CEO는 이날 지인들과의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미국이 제재 명분으로 삼는) 소위 사이버 안보라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며 "관건은 화웨이가 미국의 기술 패권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 CEO는 이 발언 밑에 '미국은 왜 화웨이를 죽이려고 하는가'라는 제목의 글 링크를 달아놓기도 했다.

 

미국이 발표한 이번 제재는 사실상 화웨이와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MSC와의 고리를 끊기 위한 조처로 평가된다.

 

작년 5월부터 시작된 미국 정부의 제재로 화웨이는 퀄컴 등 미국 회사들로부터 반도체 부품을 사들이기 어려워졌다.

 

이에 화웨이는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이 자체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대만 TSMC에 맡겨 생산하는 방식으로 미국의 제재를 무력화한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 기술 전문 매체 지웨이왕(集微網)에 따르면 하이실리콘은 미국 정부의 추가 제재 발표가 나기 직전 TSMC에 7억 달러(약 8천600억원)어치의 반도체 제품을 발주했다.

 

지웨이왕은 이번 주문량이 화웨이가 한 분기 스마트폰을 만드는 데 쓸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