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세계 신공항 수주 1등 . 국내공항 건설 노하우로 전세계입찰 싹쓰리 ①

중국 일대일로 협력통한 세계의 신공항 건설굴기.

땅넓고 사람많은 중국에는 현재  248개의 민간공항이 있다. 가장 최근에 완공돼 운영중인 것은 베이징 신공항인 다싱국제공항이다. 

 

여기에 몇십개인지 알려지지 않은 군사용 비행장까지 합한 이 많은 공항과 터미널은 대부분 1980대 이후에 중국건축, 베이징시건설그룹등 다 중국국영건설회사들이 건설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축적해온 공항건설의 노하우와 실력은, 전 세계의 굵직한 새로운 국제공항건설 수주시장에서 기술과 비용 두 가지 요구를 우세를 보이며 국제적인 공항건설수주액의 1위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해외 공항건설사업은 , 중국의 일대일로 컨셉과 가장 부합한 분야로, 시진핑시대들어 그 확장세가 단연 돋보인다.

 

중국이 지난해까지 수주해 건설한 해외의 국제공항수는 모두 70개로 파악되고 있다.  한 프로젝트당 금액규모는 최고 한화로 1 조원에 이르러 합산이 무의미할 정도다.

 

우선까지 수주액상으로 10위까지의 해외 국제공항 수주 프로젝트를 2회에 걸쳐 알아본다.

 

1위 씨엠리아프주 (앙코르) 신 국제공항 /  캄보디아 씨엠리아프주 인근 / 시공사 : 중국윈토우그룹  ( 云投集团)/ 수주액 8.8억 달러 (한화 약 1조 5백억원) 

 

 

 

중국 남부 운남성정부가 투자한 국영 윈토우그룹( 云投集团)은 2016년 10월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金边) 에서 간 총리와, 이 공항의 건설과 운용 그리고 교부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국제공항의 건설계약은 매우 독특한데, 건설 공사비 전액을 윈토우그룹에서 부담하고, 완공후 55년동안 중국측이 이 공항을 운영해 나온 수익으로 공사비를 회수하고, 캄보디아측에 공항을 인계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 3기로 나누어 순차 완공할 예정인 이 공항은 3년 후인 2023년 700만 명 수용능력으로 1차 준공하고, 2050년 2.000 만명 수용능력으로 최동 완공된다.

 

이 공항은 세계적인 관광지 앙코르와트까지 직선거리로 40 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다.

 

기존 앙코르와트 전용공항은 유적지로부터 약 5킬로미터에 위치해 항공기 이착륙으로 인한 진동피해우려가 제기됐고, 수용능력도 한계에 달해 중국과 캄보디아 합작으로 신공항건설을 시작했다.

 

이 공항 건설은 지난 3월. 착공식을 갖고 시공에 돌입했다.

 

2위 알제 신 국제공항 /  아프리카 알제리 / 시공사 : 중국 중젠그룹 (中建集团)/ 수주액 8.5억 달러 (한화 약 1조 170억원) 

 

 

 

중국건축그룹 제 8국이 수주해 공항활주로와 부대시설등 65만 평방미터규모로 새로 건설한 알제리 신공항청사는 1,000 만명의 여객수용을 목표로 완공됐다. 

 

공항청사는 180미터에 달하는 강관구조가 45미터 높이에 올려져 위치하고 있어, 청사내 시야가 세계최고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해 5월 부터 정식운영되고 있다.

 

 

3위 수단 하르툼 신 국제공항 (喀土穆新国际机场 , Khartoum International Airport)/ 아프리카 수단 / 시공사 : 중국교통건설그룹산하 중국항만엔지니어링회사 CHEC )/ 수주액 7억 달러 ( 한화 약 8천4백억원) 

 

 

 

 

2014년 12월 수단정부와 중국수출입은행의 대 수단 차관계약이 체결되면서, 수단의 수도 하르툼의 신 국제공항을 중국교통건설집단이 수주하였다.  2016년 12월 700만 명 여객의 수용을 목표로 하는 신공항 설계도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수단의 바시르정권의 장기집권하에서 일어난 다르프르 학살사건과 그에 따른 장기적인 내전 그리고 유엔평화유지군 주둔등 복잡한 수단의 국내사정에 의해 그동안 정식 착공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2019년 4월 친정부 군부쿠테타로 바시르 대통령이 실각하고, 군부 과도정부가 들어서 있는 관계로, 중국의 차관으로 진행되기로 한 하르튬 신 국제공항의 착공과 완공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이다.

 

4위 쿠웨이트 국제공항 / 쿠웨이트 / 시공사: 중국항공기술국제지주회사 (中国航空技术国际控股) / 수주액 4억 8천9백억 달러 (한화 약 5,900억원 )

 

 

 

5위 몰디브 말레 국제공항 확장 프로젝트 / 몰디브공화국 /' 시공사 : 베이징청젠그룹 / 수주액 : 4억 달러 (한화 약 4천 8백억원 )

 

 

 

중국 베이징도시건설집단은 , 2014년 9월 시진핑주석과 가욤 몰디브대통령과의 협청체결 직후 설계와 공사를 시작해 2017년 5월 완공했다.

 

기존 활주로 옆으로 산호초 바다를 간척해 부지를 만들고, 그 위로 가장 높은 공항활주로 기준인 4F에 적합한 활주로를 만들기 위해 , 길이 3,400미터 , 폭 60미터 , 활주로 좌우 여유공간 7,5 미터를 확보한 새 활주로를 증설했다,

 

아래 사진은 과거의 좁고 짧은 활주로 모습. 활주로가 하나 뿐이고 건설된지 오래여서 주변이 초록색 잔디로 덮여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