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자금 싱가폴 대량유출? ", 사실아니다. 싱가폴 금융관리청 부인

 

홍콩보안법 발효를 전후해,  홍콩부유층과 유력기업들이 자신들의 자산을 싱가포르로 대량유출시켰다는 보도가 적지 않았는데, 이 모두 사실이 아니라고 싱가포르 통화청이 부인했다.

 

싱가포르의 통화문제를 전담하는 금융관리청의 라비메논 청장은 CNBC와의 16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올해 1월부터 싱가포르에 의미있는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거나 특이한 금융자본의 이전이 없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 금융관리청 MAS ( Monetary Authority of Singarpore) 는 싱가포르 중앙은행을 겸하고 있는데,  라비메논 청장겸 중앙은행장이  ,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홍콩내의 반중시위를 비롯해 정치적인 소요가 적지 않았던 가운데, 홍콩자본의 싱가포르 유출에 관한 많은 질문이 있었다며 이 같이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날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연례보고서의 발표와 기자회견을 겸한 자리에서, 싱가포르에는 비단 홍콩뿐만이 아니라 세계각국에서 항상 외부의 자금이 유입되거나 이동하는 등의 변화가 있지만, 홍콩으로부터 특별한 자본유입의 증가가 있었던 적은 없었다고 발표했다.

 

라빈 중앙은행장은 특히, 홍콩사태이후 그동안 꾸준히, 홍콩의 부유층이나 일부회사의 자본이 싱가포르로 탈출하고 있다는 보도가 특별하게 많았지만, 대부분 정확한 근거나 수치가 제시되지 않은 추측성 기사들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홍콩의 재산가들이 홍콩달러를 빼내어 싱가포르 중앙은행에 홍콩달러 전용예금으로 이전했다는 보도는 전혀 사실무근으로 생각한다고 인터뷰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빈 중앙은행장은, 싱가포르에 지사를 둔 세계의 많은 국제적인 금융기관들은 대부분 홍콩에도 지사를 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 투자액의 비율을 조정할 수는 있지만 어느 한 곳을 철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는,  홍콩이 앞으로도 비 금융친화적으로 바뀌지도 않겠지만, 만약 그렇다 하면 같은 지역내에 있는 싱가포르 금융권도 덩달아 나쁜 영향을 받게 될 것이기 때문에, 싱가포르 금융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에, 홍콩과 싱가포르는 서로를 대체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정민기자,연합뉴스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