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정은 북한1호 코로나환자 출현에 개성봉쇄하자, 中네티즌 우려와 당부메시지

 

중국매체들이, 오늘 26일 코로나환자가 전무했다고 알려진 북한의 개성시에서 제1호 환자가 생겼다고 전한 조선중앙통신사의 보도를 전하며, 김정은위원장이 최상급의 긴급조치를 발령하고 개성시에 대한 전면봉쇄를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신화사등 중국매체가 전한 조선중앙통신사 보도에 따르면,  3년전 탈북해 한국에서 생활해왔던 개성출신 탈북자가 지난 19일 군사분계선을 넘어 다시 개성시에 잠입했다가 5일후인 24일에 적발됐는데, 문제는 그에 대한 코로나19 조사결과 호흡기와 혈액검사에서 코로나19 감염자로 판명됐다는 것이다.

 

북한의 김정일위원장은 이 보고를 받은 당일인 24일, 개성시와 외부을 즉각 차단하고 봉쇄조치를 취했고, 북한 전역에 특급경보를 하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화사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북한이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한 코로나19환자는 단 한명도 없었다며, 북한에 제 1호환자가 들어오게 한 해당지역의 경비책임자에 대한 문책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코로나 19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북한에 코로나환자가 생겼다는 보도를 접한 중국 네티즌들이 조속한 사태처리로 계속 청정지역으로 남아있기를 기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 전염이 확산되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라. 확산돼 만연되지 않기를 ! "

 

" 방역에는 국경이 없으니, 북한 바이러스가 빨리 없어졌으면 좋겠네. 평안하기를 ! "

 

" 많은 이들의 맘을 모아 성을 쌓아서 역병과의 전쟁에서 필승 !"  

 

" 힘을 합해 망을 보고 도와서 어려운 시기를 같이 극복해서 역병과의 전쟁을 이겨내자"

 

" 반드시 통제를 잘 해야 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