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믿지 않고 행하는 일은 성공할 수 없다.


疑行無成, 疑事無功

의행무성, 의사무공




疑行無成, 疑事無功

의행무성, 의사무공



"의심하며 행하면 이룰 수 없고, 의심하며 일하면 공이 있을 수 없다."



춘추전국 진나라의 천하통일의 기틀을 다진 상앙의 말이다.

 

당연하고 쉽다.

 

하지만,

 

평생 이보다 지키기 어려운 말을 듣지 못했다.

 

"에이, 내가 옛날에 그것만 했어도 …"

 

"별것 아냐, 나도 안 해서 그렇지 다 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던지는 말이다.

 

하지만,

 

돌이켜 보라, 과연 그때 정말 그 일을 할 수 있었는지.

 

많은 이들이 많은 상상을 하고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고

 

많은 사업 아이템을 고민한다.

 

하지만 정작 일에 착수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왜?

 

이유는 '만에 하나'가 두렵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99.99%의 성공을 확신하다, 최후 결심의 순간에 0.001%의 실패의 가능성 때문에 포기를 한다.

 

0.001%의 가능성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누구나 알듯 그 숫자만큼 적다.

 

하지만

 

결심을 앞둔 순간 이 0.001%의 실패의 가능성은 일을 착수하는 데 최대 관건이 된다.

 

웬만한 이들은 

 

이 0.001% 실패의 가능성에 좌절하고 만다.

 

그래도 좌절해 일에 착수하지 않았다면 다행이다.

 

상앙이 지적하듯,

 

일을 하면서 끊임없이 0.001% 실패의 가능성에 두려워하는 이들이 있다.

 

사실 이 0.001%의 실패의 가능성은

 

아무리 고민해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운이다.

 

현존하는 조건이 아니란 의미다.

 

그런데 이 0.001%에 매달리면,

 

99.99%의 성공 가능성도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한다.

 

의심의 틈에 

 

의심이 생기고,

 

불안이 생기고,

 

다시 의심을 증폭시킨다.

 

의심은 일을 시작하지도 못하게 하지만.

 

시작한 일도 성공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삶은

 

대부분

 

99.99%의 확실함으로 이뤄진다.

 

0.001%의 불확실함은

 

그에 비하면

 

정말 작디작은 숫자다.

 

 

그 작은 것 때문에 큰일을 못하는가?

 

그 작은 것 때문에 큰 것을 망치는가?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