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프랑스 6번째 홍콩과 범죄인인도협약 파기에, "서방세계가 공모." 비난쇄도.

 

'프랑스 24' 가 지난 3일, 프랑스정부는 신 홍콩보안법 관련해, 홍콩과 체결했던 '범죄인 인도조약' 《移交逃犯协定》 을 무효화하겠다고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프랑스를 포함해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조약을 무효화하겠다고 한 서방의 나라는 모두 6개국으로 늘었다.

 

지금까지 캐나다와 호주 그리고 영국과 뉴질랜드 독일이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조약을 유지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이들 서방국가가 홍콩과 범죄인인도조약을 무효화하겠다고 한 시기를 나라별로 살펴보면, 캐나다( 7월 3일) 호주 ( 7월 9일 ) 영국 ( 7월 20일 ) 뉴질랜드 ( 7월 28일) 독일 ( 7월 31일) 순이다.

 

이들 나라들이 범죄인 인도조약을 없었던 것으로 한다는 말을 다른 말로 하자면, 홍콩의 반중세력들이 홍콩의 새로운 국가보안법을 위반해, 홍콩전복음모나 내란음모등을 획책한 중대범죄는 물론 기타 범죄를 저지르고 이 들 나라로 도망갔을 때, 중국이 돌려보내라고 요구하는 것을 거절하겠다는 것이다.


이 외에소,  예를 들어 시위도중 중국국기와 홍콩국기등을 훼손하거나 모욕한다는가, 중국국가를 개사해서 비꼬고 조롱하는 등의 중국의 성스러운 주권과 상징을 훼손 모욕하는 행위 등 , 국가의 위신과 안전을 해치는 모든 행위를 위반하면 홍콩의 범죄인이 되이고 이 들 나라로 도망가면, 송환을 요구해야 하고 특별한 요구없는 한 반드시 송환해야 하는 것이다.

 

이 범죄인인도법은 세계각국이 서로 다른 나라의 주권을 존중해서, 어떤 나라의 범인들이 자국으로 도망왔을 때 잡아서 되돌려보내야 하는 법이다. 

 

이 대로 하지 않겠다는 것은, "당신나라에서 당신을 반대한 사람들을 우리나라는 보호하겠다." " 당신을 반대하다 도망나온 사람들 처럼  나도 당신을 반대한다" " 그래서 범죄인 인도를 못하겠다" 라는 뜻이다.

 

이 말을 조금 더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우리나라는 당신을, 중국을 반대하고 도망쳐온 그 사람들 편이지, 당신, 중국편이 아니다" , " 그리고 나도 당신( 중국)이란 나라가 없어졌으면 좋겠어" 라고 말하는 것고 크게 다르지 않다.

 

범죄인 인도법이라고 해서, 언듯 독자나 저희처럼 일반 선량한 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나라대 나라의 문제로 보면 , 엄청난 문제이다.

 

심하게 말하면 중국에 거의 선전포고를 한 것과 같은 행위이다.

 

이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이 비교적 순한 표현으로 반대를 하고 있는 것을 정리했다.  표현이 거칠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 범죄인인도협약을 파기하겠다는 뜻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엄중한 의미가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잘 모르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웬 난리들이야 ?

 

이상하지 않아... 백정집의 개는 당연히 백정의 말을 들어야지 ! 

<  백정집의 개는 백정의 말을 들어야지는 중국 속담이다. 즉 서방국가들 중의 백정은 미국이고,   그 미국의 영향권의 백인국가 모두 미국의 말을 들어야 한다는 비유이다. 백정은 키우는 개의 생사탈권을 가지고 있다. > 

 

언젠간 요 나라들이 꼬리를 내리고 살살 웃으며 우리 중국에게 빌붙게 해 달라고 사정할거야. 

화팅하자 중국인들여 !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