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미 대선앞두고 북한김정은 카드 활용할 가능성 대두

 

지난 달 홍콩의 명보가, 올해 11월 3일 미국대선에 재선을 위해 출마하는 트럼프에게 타격을 주기위해, 오는 10월 25일 항미원조전쟁 70회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벌일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를 한 가운데, 북중국경도시 단동에서 항미원조전쟁을 주제로 한 뮤지컬이 공연되는 등 사전준비가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오늘 6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서 발행되는 랴오닝 일보 (辽宁日报)는, 어제 1950년부터 53년까지 중국 인민해방군 약 18만명이 희생된 항미원조전쟁 이야기를 다룬 " 내 가장 사랑하는 사람 《最可爱的人》" 이라는 제목의 전쟁뮤지컬이 단동시문화궁에서 성대하게 개막됐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단동시 민족가무단의 단원들이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  항미원조출병작전 70주년을 맞아 영웅적 도시로서의 단동의 이미지와 시대정신을 고양시키기위해, 중국과 북한이 힘을 합쳐 침략을 막아낸 영웅들의 이야기를 대형 뮤지컬로 제작해 많은 관중들에게 선보여 큰 갈채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이번 뮤지컬은 단동출신의 항미원조전쟁 참전용사가 장진호전투와 상감령전투등에 참가하면서 겪었던 눈물겨웠던 실화를 노래와 춤으로 풀면서, 인민해방군의 애국심과 혁명정신 그리고 인류평화와 정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웅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삼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 다가올 미래를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랴오닝 일보는 또, 어제 5일 첫공연에 이어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에서 온 문화예술전문가들이 관련 세미나를 열어, 오는 10월 중순 선양에서 열리는 제 11회 랴오닝성 페스티벌에 이 뮤지컹를 초청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한 편 이 뮤지컬은 오는 9월 중순에 앙콜무대를 갖고 다시 한번 무대에 올려질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