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진출 외자기업중 사회적책임기업순위 탑 10에 한국기업 4개 랭크

중국에 진출한 외자기업들 가운데, 한국의 대표기업들이 중국과 중국소비자에 대한 사회공헌 방면에서도 가장 뛰어난 업적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일보 즉 차이나 데일리등 중국매체와 많은 웨이보등은, 특히 한국 삼성그룹의 중국삼성이 2020년도에도 1위를 차지했고, 중국 HYUNDAI, 중국LG와 중국 POSCO 등 한국의 대표기업들이 모두 10위 내에서도 상위에 랭크됐다는 사실을 크게 알렸다.

 

특히 중국 삼성은 올해 8년 째 1위에 랭크됐다고 전해진다.

 

또 중국 현대차도 5년 연속으로 외자 자동차기업들 가운데서 1위, 그리고 중국 국영 민영 자동차회사들를 통틀어 본 사회적 책임 완수기업으로는 역시 5년 연속 2위에 올랐다.

 

중국국영 연구소가운데서도,  사회경제방면의 최고 권위의 연구소로 꼽히고 있는 중국 사회과학원은 지난 13일, 중국내 기업의 사회공헌도에 관한 청서( 블루 북)을 발표하고 관련 인증서를 교부하는 행사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과학원이,  중국에 진출한 해외기업가운데 기업의 매출, 영향력 등을 고려한 세계적인 대 기업들을 대상으로 선정한 10대 사회적책임 우수기업 순위를 살펴보면,

 

 

1위 중국 삼성

 

2위 중국 현대차

 

3위 파나소닉 (일본)

 

4위 중국엘지

 

5위 중국 포스코

 

6위 애플 (미국)

 

7위 델타 ( 중국 타이완 컴퓨터전원부품 회사)

 

8위 캐논 (일본)

 

9위 TSMC ( 중국 타이완 반도체회사)

 

10위 중국 SK  순이었다. 

 

 

 

또 한 사회과학원은 이번 청서에서 중국의 국영 민영기업과 외자기업 중 300대 기업을 합쳐, 사회적 책임 완수 종합순위도 발표했다. 

 

1위에는 화룬 그룹 ( 华润集团  중국 국영)이 선정됐고, 2위에는 중국 삼성이 올랐다

 

3위에는 한국 한국전력같은 중국화디엔( 中国华电 중국 국영)이, 그리고 4위에는 중국의 현대차(한국) 가 올랐다 .선정돼, 주우웨를 통틀광락

 

외부ㅡ불르 불룹부르동 . 사이사황지난 11월 13일, 중국사회과학원 주최로 중국 내 300개 기업(국유 100개, 민영 100개, 외자 100개)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관리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순위를 발표했다.

 

삼성은 8년 연속 외자기업 1위에 올랐으며 전체 기업에서는 지난해와 같은 2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2016년부터 5년 연속으로 자동차기업 1위와 외자기업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신속한 지원과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