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10계," 웃으면서 칼을 숨겨라, 방심할 때 언제든 찌를 준비를..."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10계 : 소리 장도/ 샤오리 창다오 (笑里 藏刀) : [xiào lǐ cáng dāo]" 웃으면서 칼을 숨기고 방심할 때 찔러라" 

 

다른 35계에 비해 이 제 10계의 원리는 비교적 단순하다.

 

즉 적이 아닌 척 친해지다가 상대가 방심할 때 공격해라, 또는 허허실실 인자하고 자비롭고 선한 척척하다가 상대가 믿고 다가오면, 그 때 마각을 드러내어 살해하라는 뜻이다.

 

한반도처럼 뚝 떨어진 반도가 아닌 중국은,  넓은 대륙에서 산하나 강하나를 사이에 두고 크고 작은 나라들이 국경을 마주했었기에, 이기고 지는 전쟁이 잠잠할 날이 없었던 만큼, 나라의 흥망과 영웅들의 생사를 바꾼 샤오리창다오 (笑里 藏刀) 전법의 실제 예가 적지 않다.

 

먼저 유명한 춘주전국시대의 고사 와신상담의 주인공인 오나라와 관련된 고사를 소개한다.

 

오나라의 공자 (왕의 아들이나 조카등 인척 중 왕위를 계승하지 못한 자) 지꽝( 姬光)은 , 사촌 형이 오왕 랴오 (吴王僚)가 된데 불만을 품지만, 오왕 랴오 앞에서는 항상웃고 비위를 맞추며 때를 기다리다, 조나라에서 도망온 명장 오자서 (伍子胥)를 얻고,  오자서가 데려온 친구 쥬안 주 (专诸) 라는 장사에게도 큰 상을 내려 식객으로 대우하면서, 왕을 살해할 기회를 노린다.

 

오왕 랴오는 구운 생선요리를 즐겨먹는 취미가 있었는데, 어느날 사촌동생인 공자 지꽝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실실 웃는 얼굴로 찾아와 자신의 집에서 귀한 생선을 구워 대접하겠다고 초대를 한다.

 

오왕 랴오는 흔쾌히 응하면서도, 만약을 위해 본인은 세겹으로 된 두꺼운 갑옷을 입은 후, 또 무장한 100명의 호위무사의 경호를 받으며 지꽝의 집에 들어선다. 

 

문앞에까지 나온 지꽝은, 그 어느 때보다도 밝은 얼굴로 아부하며 웃는 얼굴로 오왕 랴오를 환대하여 연회장의 상석에 모신 후 이런 저런 우스개소리로 비위를 맞추고, 이내 갑자기 배가 아프다고 자리를 뜬다.

 

잠시후 오왕 랴오가 좋아하고 기다리던 구운 생선요리가 완성되자,  지꽝이 식객으로 대우하고 있던 두명의 무사중 한 명인 쥬안 주 (专诸)가, 아무런 무장을 하지 않은 평상복차림으로 , 생선 요리를 담은 호사스런 쟁반을 들고 들어와 오왕 랴오 앞 식탁에 정중히 올려놓는다.

 

그러자 향긋한 요리 냄새가 방안을 가득 채웠고 오왕 랴오는 보기좋은 생선요리를 맛보기위해 식탁에 가까이 다가온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쟁반을 놓고 기다리던 지꽝의 무사 쥬안 주가, 돌연 생선의 뱃속에서 숨겨 넣었던 단검을 빼내어 , 오왕 랴오의 두꺼운 갑옷을 뚫고 삽시간에 살해하고 만다.

 

 

그리고 배가 아프다고 자리를 피했던 지꽝과 오자서가 무장병을 이끌고 오왕 랴오의 경호대를 제압하고, 꿈에도 그리던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 고사을 보면, 지꽝의 웃는 얼굴 뒤에 칼이 감춰져 있기도 했고, 또 구운 생선요리속에 진짜 칼이 숨겨져 있었으니 위리창다오 ( 鱼里藏刀)라고 쓸 수도 있겠다.

 

이렇게 해서 왕위에 오른 지꽝은 왕위에 올라 합려( 阖闾 [hé lǘ] )라고 불리는 인물이다.

 

이 합려는 이후 이웃한 월나라의 왕 구천을 공격하다가 치명상을 입고 죽게되는데, 이 때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당부한다.

 

부차는 아버지 합려의 원수를 갚기 위해 월나라와 전투를 벌여 월나라 왕 구천을 사로잡았고, 이후자신의 노예를 자처해 똥 오줌의 맛을 보며 건강을 살피는 구천을 가상히 여겨 플어준다.

 

바로 이 월나라 구천이 와신상담이라는 고사의 주인공으로, 오나라 부차는 구천의 공격을 받고 전쟁에서 패해 죽게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