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시 경찰국, 코로나 헛소문가짜뉴스 450건등 방역방해사범 약 2천 건 의법처리

 

베이징시 공안국 부국장 판쉬홍 (潘绪宏) 대변인은 어제 15일 베이징시정부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2020년 코로나19 방역관련 특별 치안공작을 수행해온 이후, 약 1년간에 걸쳐 방역을 방해했거나 헛소문을 퍼뜨려 불안을 고조시키는 등 당국이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치료하려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한 행위자에 대한 처분 결과를 밝혔다.

 

판쉬홍 대변인은, 당국의 코로나19 방역관련 사범의 종류를 3가지로 분류했는데, 먼저 헛소문을 전파해 근거없는 불안을 야기한 행위와 관련해, 33명이 실형을 선고받았고 , 최고 15일 까지의 행정구류처분을 받은 사람이 97명에 달했고, 785명에 대해서는 벌금부과등의 훈방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판 대변인은 또 , 당국의 방역조치를 물리적으로 방해하거나 적극적으로 차질을 빚게 한 자 가운데 형사재판에 넘겨져 실형을 받은 사람이 128명이고 , 행정구류 15일 이내의 처분을 받은 사람이 513명, 그리고 벌금부과등 훈방조치를 받은 사람이 238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 밖에 자신의 병력등을 숨기거나 고의의 거짓말등으로, 시당국의 합법적이고 정당한 방역활동을 경미하게나마 방해한 사범에게는 조사후 교육과 함께 귀기조치했다.

 

그는 "유세에 협조하지 않고 개인 활동 정보를 고의로 숨기는 것은 자신의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전염원 소급, 밀접 범위 확인 등의 업무를 심각하게 방해해 방지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말했다.반서홍의 지적.

 

베이징시 공안국은 이 날 기자회견에서 여러 형태의 방역방해행위 실례를 소개했는데, 가장 보편적인 경우가 유사증세가 발생했을 때 격리와 직장통보를 피하기 위해 병원대신 불법치료소에서 링거액등을 맡다가 시기를 놓친 후 적발된 사례가 많았는 데, 이 경우 불법 의료행위를 제공한 자들은 예외없이 의료법 위반등의 혐의로 형사처벌됐고, 환자는 행정구류나 벌금처분등 경고성 처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편 개인적인 원한등의 이유로 특정인이나 특정 기업, 기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량으로 발생한 것처럼 위챗등 SNS망을 통해 허위소문을 퍼뜨려, 직장폐쇄등으로 인한 실제적인 피해를 입힌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와 같은 악의적인 헛소문에 의해 피해를 입은 기업은, 식당등 요식업소와 판매점과 백화점 그리고 부동산 소개업소등 다수의 고객이 찾는 종류의 업종이 많았다.

 

또 버스와 지하철등 공공교통수단에서 통제요원과 운전기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오히혀 행패를 부려 심한 불안감을 야기시킨 경우가 뒤를 이었다.

 

위에서 본 약 2천 건에 달하는 방역관련 형사및 행정처분건수는, 지난 1년동안 누적된 수치라고 하지만, 한국에 비하면 비교적 많은 방해행위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 주된 이유는 아직은 수도 베이징의 주민이기는 하지만, 한국인의 평균 교육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원인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베이징 공사현장등에서 돈을 벌기 위해 외지에서 일용직으로 들어온 인원이 적지 않은 것이 주요원인 인것으로 웨이보들이 분석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