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태국부총리도 미국의 대중국 압박의 비윤리성 지적, 아시아국가 중국중심으로 단결한다.

 

태국의 전 부총리가 미국과 영국등 서방세력이, 중국의 신장자치구의 인권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하는 것은 모두 거짓말이라고 강력하게 비난하면서, 결국 서방서력을 자멸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태국 부총리를 지낸 태-중 문화촉진위원회 회장이 “신장 문제에서 미국이 악의적으로 중국을 헐뜯으면 최후에 더 심한 타격을 입는 것은 미국 자신이다. 왜냐하면 거짓말은 자멸할 것이며 타인을 해치는 자는 결국 자신을 해칠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력하게 비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신화사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집권 기간에 중국 신장의 인권 실태를 비방하면서 중국 정부의 신장 정책을 악랄하게 공격하고 중국 내정을 난폭하게 간섭한 것은 세계 다른 나라들이 모두 똑똑히 보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국토 면적이 넓은 인구 대국으로 오랫동안 빈곤 문제에 시달렸지만 중국 정부는 전국적으로 절대 빈곤을 해소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이끌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세계 선두 위치에 있고 코로나19 백신 개발도 다른 나라보다 우수하다. 중국이 강해지니 서방 국가들이 중국을 경쟁 라이벌로 간주하고, 비우호적인 태도로 중국을 대하면서 이른바 법률이나 인권 등 문제를 핑계로 중국을 공격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장을 방문해 그곳 사람들이 친절하고 우호적이며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고 행복감이 강하다는 것을 피부로 느꼈다. 나는 그곳 사람들이 그 어떤 긴박감을 느끼는 것도 보지 못했다. 나는 중국 정부가 현지에서 대규모 수리, 전력 등 인프라 건설에 힘써 국민의 생활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또 “중국에서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외에도 짱족, 좡족 등 소수민족들이 모두 중국 정부의 지도 아래 발전하고 있다”면서 “나는 서방 국가가 신장 문제에 대해 중국을 비방하는 것을 믿지 않는다. 세계 다른 나라들도 이렇게 심하게 먹칠하는 발언을 믿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