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캐나다인 비공개재판에 트뤼도 캐나다 총리 “절대 용납할 수 없어”

중국 법원이 간첩 혐의로 구금 중인 캐나다인 대북사업가의 재판을 비공개로 진행한 데 대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분노했다.

 

트뤼도 총리는 1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마이클 스페이버가 겪고 있는 재판, 그리고 아마도 마이클 코브릭이 다음주 월요일 겪을 재판이 투명하지 않게 비밀리에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실망스럽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들 재판의 투명성 부족은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고 트뤼도 총리는 덧붙였다.

 

중국 랴오닝성 단둥 중급인민법원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외국을 위해 정탐하고 국가기밀을 불법 제공한 혐의'를 받는 스페이버에 대한 첫 심리를 비공개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2018년 12월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이 캐나다에서 체포된 직후 스페이버와 전직 캐나다 외교관인 코브릭을 잇따라 체포했다. 간첩 혐의가 있다는 것이 중국 당국의 설명이지만, 멍 부회장 체포에 대한 보복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날 재판에서는 캐나다 영사의 방청도 불허됐다. 이에 트뤼도 총리는 "그들의 석방을 보장하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트뤼도 총리는 스페이버 재판에서 서방 8개국이 캐나다 입장을 지지한 것을 가리켜 "중국은 이 문제가 단지 2명의 캐나다인에 관한 일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면서 "이는 법치와 다수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를 존중하느냐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중국의 대응이 "자의적 구금과 강압적 외교"라고 맹비난했다.

 

스페이버의 가족도 성명을 내고 "그는 중국에 살면서 일하는 것을 사랑했다. 중국의 이익을 침해하는 어떠한 일도 한 적이 없다"라며 "그는 중국, 캐나다와 북한의 건설적 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