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년 중국 노인 인구 3억 명 시대 된다...양로산업 커질 듯

중국 실버산업 최대 기대주



중국의 60세 이상 노년층 인구가 오는 2025년에는 3억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도 늘고, 무엇보다 모바일 문화에 밝은 노년층 인구들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중국의 실버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이 예고된다.
6일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는 1억9천64만명이었다. 이는 전체 인구의 13.5%에 달하는 수치다.
이 노년층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본래 중국인들은 보양을 중시하는 게 전통적인 관습이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이날 '중국의 노인인구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2025년에는 60세 이상 인구가 3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체 인구의 대략 35%가량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지난해 기준 자녀와 따로 사는 노년층 1억2천만명이라고 추산했다. 
이중 혼자 사는 노인은 2천500만명이 넘는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무엇보다 월 소득이 1만 위안(약 175만원)이 넘는 노인 인구도 2017년 1천600만명에서 2022년에는 2천200만명으로 늘 전망이다.
특히 노년층의 모바일 사용 시간도 늘었다. 지난해 5월 기준 중국 노년층의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40세 이상 연령층보다 16.2분 더 긴 64.8분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탓이기도 하지만 현재의 같은 연령대 노령층에 비해서 모바일 사용이 능숙한 때문이기도 하다. 이 같은 노년층이 중국인구의 35%를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이들을 위한 '실버 여가 산업'과 '양로 서비스'가 유망산업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2018년 2천860억 위안이었던 양로산업은 올해 4천5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 두배가량의 성장을 했다. 
중국의 양로 산업은 한국에게는 적지 않은 기회가 될 수 있어 주목된다. 일본 역시 양로 관련 사업 아이템이 다양하게 시도된 바 있다. 일본과 한국에서 실험돼 인기를 끈 항목을 중국에서 시행한다면 그 성공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한국 중소 기업들의 관심이 필요한 부분이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