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EU 베이징동계올림픽 보이콧 결의에 강력 반발

 

유럽의회가 8일(현지시간) 홍콩 반중매체 빈과일보 폐간과 홍콩 사회의 자유 침해에 대응해 관련자 제재 및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 보이콧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자 중국이 내정 간섭을 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9일 펑파이(澎湃)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주재 중국 사절단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기자의 질문에 "유럽의회의 이번 결의안은 흑백을 전도하고 국제 관계의 기본 규칙을 어긴 것"이라면서 "내정 간섭에 대해 중국은 강한 불만과 함께 결사반대 의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1년 만에 홍콩 내 법치 질서가 회복되고 정상화가 가속되고 있다면서 "홍콩 경찰이 국가 안보를 저해하는 개인과 회사에 대해 법에 따라 엄격히 단속하는 것으로, 언론의 자유와는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며 중국의 내정으로 국가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을 수호하겠다는 중국의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홍콩 문제에 개입하려는 어떤 세력의 시도도 실현될 수 없으며 제재를 부추기면 제 발등을 찍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대변인은 중국이 스포츠의 정치화를 반대한다면서 "정치적 동기를 가지고 베이징 올림픽의 준비와 개최를 간섭하고 방해하며 파괴하려 하는 것은 매우 무책임하고 각국 선수들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피해를 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국가를 포함해 IOC와 국제사회 각계가 이런 잘못된 행위에 대해 명확히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의회는 이 결의안에서 중국 정부가 홍콩과 티베트, 신장위구르자치구, 네이멍구자치구 등의 인권상황을 검증할 수 있게 개선했다고 입증하지 않는다면 정부대표단이나 외교관의 베이징올림픽 참석 초청을 거부하라고 EU 기구와 회원국에 촉구했다.

결의안에는 홍콩 반중매체 빈과일보가 '강제폐간' 됐다고 규정하며 이를 강력히 비판하는 내용이 담겼다.

의원들은 빈과일보 폐간을 두고 "홍콩 자유사회를 해체하고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말살하는 중국 당국의 또 다른 조처였다"고 비판했다.

결의안은 홍콩 인권침해 상황에 책임이 있는 개인과 단체를 제재하라고 EU 회원국에 촉구하는 한편 중국에 홍콩 국가보안법 폐지를 요구했다.

또 영국·호주·캐나다가 홍콩 시민에게 이주기회를 제공한 점을 환영하고 EU 회원국도 홍콩 민주활동가와 정치지도자 이주에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