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뮤지컬 '더데빌', 중 진출 성공...중국 내 호평 쏟아져

 

창작뮤지컬 '더데빌'이 중국에서 성공 신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공동제작사인 페이지원(PAGE1)과 알앤디웍스는 13일 뮤지컬 '더데빌'이 상하이와 장쑤성 우시에서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데데빌은 지난 5월 중국에 진출했다. 

지난 2014년 국내 초연한 '더데빌'은 괴테의 소설 '파우스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빛의 상징 'X-화이트(WHITE)'와 어둠의 상징 'X-블랙(BLACK)', 인간의 욕망을 보여주는 '존 파우스트', 파우스트의 가장 아름다운 존재 '그레첸'의 이야기를 중독성 강한 음악과 함께 풀어낸다.

데빌의 중국 공연 제목은 '록 파우스트(Rock Faust·摇滚浮士德)'다. 공연 규모도 중국 상황에 맞춰 대극장 규모로 제작됐다.

'더데빌'은 상하이 그랜드 씨어터에서 진행한 일부 공연에서 1천800석 매진의 신화를 만들어냈다. 

제작사는 "글로벌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탄탄한 실력의 중국 파트너와 중국 인기 배우의 출연도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더데빌' 중국 공연은 현지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의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그룹인 다마이와 마이라이브, 어메이즈랜드 프로덕션이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또 중국 톱 뮤지컬 배우 리우링페이(刘令飞)와 중국 뮤지컬계의 신성인 쟈판(贾凡) 등이 출연했다.

제작사에 따르면 '더데빌'은 베이징(7월 23∼25일), 닝보(8월 27∼28일), 쑤저우(9월 3∼4일) 등 중국 9개 도시 투어공연을 할 예정이다. 이어 일본 진출도 준비 중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