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코로나19 백신 20억 도스 세계 각국에 제공 약속

 

중국이 백신 외교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 국제 화상회의를 통해 올 한 해 국제사회 총 20억 회분의 백신 제공을 약속했다.

6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전날 화상으로 진행된 '코로나19 백신 협력에 관한 국제포럼' 제1차 회의 서면 연설에서 이 같이 약속했다.

시 주석은 회의에서 "올 한해 중국은 전세계에 20억 회분(1월부터 이미 지원한 분량 포함)의 백신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중국은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분배하기 위해 코백스(COVAX·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개도국 백신 지원 프로젝트)에 1억 달러(1천143억 원)를 기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중국이 주최했다. 진행은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맡았다.

시 주석의 연설은 서면으로 전해졌고 왕이 부장이 대독했다.

중국은 시노백(Sinovac·科興中維), 시노팜(중국의약그룹) 등 자국 2개 제약사에서 독자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현재까지 자국 내에서 15억 회분 이상 접종했다고 밝히고 있다.

백신 외교에도 적극 나서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동남아, 남미 등의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에 7억7천만 회분 이상 공급했다.

중국산 두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긴급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화이자, 모더나 등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 백신에 비해 감염 예방률과 변이에 대한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 선호도가 크게 낮은 상황이다. 

회의에서 왕이 부장은 "글로벌 백신 생산능력 부족, 불균등한 분배, 접종의 불균형 등의 문제는 여전히 돌출하고 있다"며 "인류의 미래와 운명이 걸린 이 투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오직 단결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왕 부장은 회의에서 코백스의 효율성과 투명성 개선, 백신 연구 개발·생산·조달에 대한 세계은행 등의 지원,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 적용 면제 논의 긴급 추진 등을 국제 사회에 공식 제안했다.

이번 국제회의는 중국의 주도로 열려, 태국, 우즈베키스탄,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터키, 칠레, 도미니카공화국, 콜롬비아, 이집트, 헝가리, 인도네시아, 케냐, 멕시코, 모로코, 파키스탄, 필리핀, 세르비아, 스리랑카, 에콰도르, 아랍에미리트연합, 러시아 등이 참석했다.

회의 주제는 '백신에 대한 국제 협력 강화와 공정하고 합리적인 배분 추진'이 주제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