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동북지역 5대 요리...1위는 꿔바로우

꿔바로우, 

우리에게는 중국식 탕수육으로 유명하다. 좀 고기를 바싹거리게 튀긴 게 차이가 있다. 그 것을 달콤한 소스에 적혀 먹는다.

실은 동북 지역의 요리다. 동북지역은 조선족이 많이 사는 곳이다.

그래서인지 우리 입맛에 맞는 음식들이 많다.

보다 보면 "이 것도 중국 요리였어?"하는 게 있을 정도다.

예컨대 백육순대가 그렇다. 중국 만주족들이 즐겨 먹었다고 한다. 만주족과 조선족은 사실 크게 구분하기 어렵다.

그 뿌리가 같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만주족이 청나라를 세우고, 조선족이 조선에 머물면서 크게 구분됐다고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1. 锅包肉 (꿔바로우)

꿔바로우는 청나라 광서(光西) 연간에 창시된 동북요리인데, 이 요리는 돼지 등심을 주원료로 하고, 짜장을 입힌 후 노릇노릇하게 튀긴 후 볶아 전분을 넣어 만들었는데, 그 외관은 빛깔이 노랗고 맛이 새콤달콤하다.

2. 白肉血肠 (백육순대)

백육순대의 전칭은 산채백육순대로 삼겹살, 돼지대장, 돼지피, 산채 등을 원료로 만든 음식으로, 기름이 많지만 느끼하지 않은 음식으로 현지 연회객들에게 꼭 필요한 음식이다.

3. 小鸡炖蘑菇 (닭고기 버섯찜)

닭고기 버섯찜은 동북쪽 찜 요리로 전국적으로 매우 유명하며, 주로 닭고기, 마른 버섯과 당면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져,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하여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다.

 

4. 得莫利炖鱼 (데몰리 생선찜)

데몰리 생선찜은 100년이 넘은 동북 특색 요리로 헤이룽장(黑龍江)의 데몰리 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산천어와 간수두부를 재료로 만들어 맛이 뛰어나다.

 

5. 杀猪菜 (샤쭈차이, 돼지잡이)

동북 농촌 지역에서 매년 설 대목에 돼지를 잡을 때 먹는 찌개이자 헤이룽장(黑龍江)성 10대 명요리 중 하나로 식재료도 풍부하고 돼지 몸의 거의 모든 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며 식감도 독특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