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유학생 비율 상위 5개 대학

중국의 국제화는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서 시작됐다.

중국 교육부는 한 동안 외국인 유학생들이 많은 학교에 지원금을 지급했고 일부 대학은 장학금을 주면서 외국 유학생을 유치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최근에는 중국 유학 자체가 세계 학생들에게 하나의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

그만큼 중국에서 유학하는 외국 유학생 수도 크게 늘고 있다.

그럼 중국에서 해외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는 대학은 어디일까? 

1위는 상하이뉴욕대학이 꼽혔다. 상하이화동사범대학과 뉴욕대학이 합작으로 설립한 대학이다. 국제대학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푸동신구에 위치했다. 2011년 1월 17일 중국 교육부의 승인을 얻어 추진됐다. 2012년 10월 15일 정식으로 간판을 내걸었다. 2013년 8월 첫 입학생을 받았다. 첫 입학생은 상하이 화동사범대 중산북로 캠퍼스에서 수업을 시작했고, 2014년 8월 처음으로 푸동 캠페스도 오픈했다.

푸동캠퍼스는 넓이만 1만1661㎡에 이른다. 3개의 컬리지로 구성돼 있다. 19개 전공이 있고 5개의 석사 전공 과정, 10개의 박사 전공 과정이 있다. 

 

1. 上海纽约大学 상하이뉴욕대학

2. 北京语言大学 베이징어언대학

베이징어언대학은 211대학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교육부 직속으로 111개 대학이 설립될 정도로 종합 수준이 높다. 2002년 옛 베이징어언문화대학에서 이름을 바꾼 베이징어언대는 현재 1급 석사 6개, 5개 전공석사 5개, 1급 박사 2개, 국가급 일류 학부 전공 5개 등 다과대학으로 알려져 있다.

 

3. 对外经济贸易大学 대외경제무역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은 교육부 직속 211, 쌍일류 세계일류학과 건설 고교, 전국 중점대학으로 중국 최초의 학사, 석박사 수임단위로 학과의 실력이 뛰어나고 종합 수준이 높은 명문 솽차이1무역 고교로 수도 베이징에 위치해 있으며 이 학교는 가장 좋은 학과는 국제무역학(2급학과)이며 이 학교의 세계일류학과 설립 포인트는 응용경제학(자체정)이다.

 

4. 华侨大学 화교대학

화교대학은 중앙위원회 통일전선공작부 직속 으로 저우언라이 총리 의 비준을 받은 중앙부처 산하 대학이다. 통일전선공작부가 공동으로 건설했다.  중앙위원회 부서, 교육부, 복건성 인민정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국가 중점 대학'으로 선정됐다.

 

5. 北京中医药大学 베이징중의대 

베이징중의과대학(B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은 중국 교육부 직속 국가 중점대학이다. 전통의학이 특색이다. 중국 전통 의학 총무처와 베이징시가 공동으로 세웠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