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고위급 회담에서 화상 정상회담 개최 합의...갈등 완화조짐?

 

미중 갈등이 외교적 제한선을 설정하는 모양새다.

미중이 만나 갈등의 상한선, 돌발적 충돌을 방지하자는 데 합의했다. 또 정상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키로 했다.

일단 정상화는 미국의 억제 의도와 중국의 성장 의도가 너무 분명해 답을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6일(현지시간) 스위시 취리히에서 고위급 회담을 진행했다.

지난 3월 알래스카 회담 이후 반년 만에 만남이다.

미중 양측은 약 6시간의 회담에서 ‘연말 전 화상 정상회담 개최 등 서로 충돌을 피하고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다’는데 합의했다.

일단 '갈등의 외교적 상한선'을 긋는데는 합의를 한 셈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7일 "회담에서 미중 양측은 전면적이고 솔직하며 깊이 있게 의견을 나눴으며, 양국 관계를 올바른 궤도로 되돌려 놓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양 정치국원은 "중국과 미국의 대립은 양국과 세계에 심각한 해를 입힌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둘 사이 이견이 너무 분명하다.

신화통신은 “미국이 중국의 대내외 정책과 전략을 정확하게 알고 '윈윈' 필요성을 잘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양보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관련해 양 정치국원은 대만, 남중국해, 신장, 티베트, 홍콩 등 미국과 충돌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중국이 자신들의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더 강대국인 미국의 양보를 요구하는 것이다.

양 정치국원은 "미국은 중국의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존중하고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일단 갈등이 없는 곳에서의 합의도 이끌어냈다. 기후변화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정례적인 대화와 소통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환구시보는 7일 사설에서 "미국의 대중 정책에는 변화가 없으나 태도가 다소 달라졌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이 원칙에서 양보하지 않고 스스로 할 일만 잘 하면 미국과의 관계에서 전략적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