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유명 동굴 Top 5...안순용궁 1위

중국은 땅이 넓고, 그만큼 다양한 자연환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천하 각지에 아름다운 산, 강이 있고 서부지역의 넓은 고원은 별유천지의 절경을 보여준다. 땅 속도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상상하기 힘든 규모의 동굴이 지하의 절경을 만든다.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이 힘을 합쳐 일제와 전쟁을 벌인 국공합작 당시 공산당의 한 부대가 숨어서 생활했다는 동굴도 있다. 단순히 굴 속에 숨어 산 게 아니라 굴 속이 하도 복잡하게 구성돼 있어 일본군이 들어와서도 공산당 부대를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까지 전해진다.

중국 동굴들은 베이징을 비롯해 주요 도시 주변에 산재해 유명 관광지로 개발된 곳도 많다. 

요즘은 각종 조명까지 설치해 신비함을 더하고 있다. 그런 중국의 많은 동굴 가운데도 이름을 낸 곳은 따로 있다. 그 깊이와 종유석의 구성 자체가 남다르다. 동굴의 형성과정이 아예 일반적인 동굴과 다른 곳도 많다. 중국의 동굴 인기 순위를 살펴봤다.

 

1. 安顺龙宫 (안순용궁)

안순용궁은 구이저우성의 10대 명경 중 하나인 안순 황과수(黃果樹)풍경지구에 위치해 있다. 카르스트 지형의 석회암 동굴로 내부가 바다 용왕의 수정궁을 연상시킨다고 해서 '용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로 꼽히며 1988년 2차 국가급 풍경명소로 지정됐다.

 

 

2. 鸡冠洞 (계관동)

허난성 뤄양 외곽에 위치한 계관동은 길이 5.6㎞의 석회암 동굴로 138m의 낙차가 있어 상하 5층으로 나뉘어진다. 수십만 년의 시간에 걸쳐 형성된 석회암 종유석, 석순 등의 경관이 빼어나 국가5A급 풍경구로 지정됐다.

 

3. 织金洞风景名胜区 (직금동 풍경 명승구)

구이저우성 비제(毕节)지구에 위치한 직금동은 길이가 약 10㎞에 달하는 석회암 동굴로 1988년 국가중점 풍경명승구로 지정됐다. 세계의 모든 석회암 동굴 내부를 옮겨온 듯 다채로운 형태의 종유석이 즐비해 종유동굴박물관으로 불린다.

 

4. 芙蓉洞 (부용동)

충칭시 우롱구에 위치한 부용동은 약 120만년 전에 형성된 대형 석회암 동굴로 길이는 약 2.7㎞이다. 국가 5A급 풍경구로 지정돼 있으며 프랑스 라스코 동굴, 미국 매머드 동굴과 함께 세계 3대 동굴로 알려져 있다.

 

5. 本溪水洞 (본계수동)

랴오닝성 본계(本溪)시 외곽에 위치한 본계수동은 국가 5A급 풍경구이자 국가중점 관광명소이다. 동굴 내 물길이 3㎞에 달하는데 일년 내내 물이 마르지 않고 맑아 바닥까지 보인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