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 가오슝 화재 참사소식에 중국 네티즌 "안타깝다"

"대만 남부 도시 가오슝(高雄)시의 한 노후 주상복합 건물에서 불이 나 주민 최소 46명이 숨지고 41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최근 한국에 전해진 소식이다. 오랜만에 전해진 타이완 소식인데 불행한 사고 소식이다. 안타깝기 그지 없는 일이다.

최근 중국 내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소식에 이어 타이완의 사고 소식까지 더해진 것이다.

지난 14일 대만 중앙통신사와 자유시보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54분(현지시간) 가오슝시 옌청구의 청충청(城中城) 빌딩에서 불이 났다. 이 빌딩은 40년된 낡은 빌딩이다. 지하 2층, 지상 13층 주상복합 건물로 전해졌다. 지하와 지상 1∼5층은 폐쇄된 상태였고 7∼11층에 약 120가구가 살고 있었다고 한다. 

대부분이 고령 가구였다고 전해져 안타까움을 더하게 하고 있다.

타이완은 중국인들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 많은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생활해 개개인의 생활공간은 상당히 좁은 형태를 보여준다. 

이 같은 생활형태는 화재 발생시 적지 않은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게 단점이다. 이번 사고 역시 마찬가지로 최소 46명이 사망자가 나와 인명 피해가 컸다.

요즘 타이완과 중국 내륙은 사이가 극도로 나쁜 상태다. 하지만 형제는 형제인 모양이다. 중국 네티즌들도 일제히 애도를 표했다.

 

부디 불조심하길!!

 

이렇게나 많은 사람이.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살아계신 분들의 안녕을 빌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빠르게 철저히 조사해야 해.

 

물과 불은 무자비해, 안전이 제일이야!

 

불 사용을 신중히 해야 해!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하지 마!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