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 지지하는 중국 네티즌들의 속내는?...미국 비판

미국 정부가 삼성 등 세계 반도체 기업들에게 재고 자료를 요구해 논란이다. 삼성 측에 따르면 재고 자료는 가격 협상과 결정을 판가름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다. 

이게 공개되면 기업의 협상력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해당 자료는 한국 정부는 물론 주주들에게도 공개되지 않는다. 가격 협상력을 유지하기 위한 보안상의 이유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 정부가 이 자료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삼성 측은 "다른 기업의 동태를 보고 최종 결정을 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반도체 기업들의 극심한 눈치보기가 시작된 것이다.

미국은 현재 자국 기업들의 반도체 부족 현상에 근본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 생산이 된다고 하더라도 우선 미국에 일정량이 배정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는 반도체의 재고가 어느 정도인 정확하게 파악해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 같은 조치를 하면서 양수겸장으로 중국에 대한 견제로도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중국은 최근 빠르게 IT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있는데, 그 기반인 반도체 공급을 미국 주도로 만들어 중국의 IT산업이 제약을 받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에 중국은 자국 내 반도체 공급을 자급자족 형태로 바꾸기 위해 반도체 생산 업체들을 대거 양성하고 나섰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오랜만에 중국 네티즌들이 삼성 편을 들고 나섰다. 미국이 밉기는 미운 모양이다.

 

(미국은) 완전 지구촌의 악질이야!

 

미국의 눈에 한국, 일본은 동맹도 아니고 기껏해야 미국의 식민지일 뿐이야 ; 대만의 독립분자는 더더욱 미국의 총알이야.

 

미국이 분명 빼앗을 거야, 주지 않으면 때릴걸!

 

강도의 논리야.

 

미국은 무뢰한이고 무법천지야...!

 

강도는 얼굴을 숨기지도 않고, 공공연히 뺏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