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이든의 대만 방어책에 중국 네티즌 "도발하지 마라"

 

중국 지도부가 타이완에 대한 무력통일까지 언급하고 나서자, 미국과 영국이 타이완과 함께 군사 훈련을 하면서 무력 시위를 벌이는 지경이 됐다.

타이완과 남중국해를 놓고 중국과 미국의 신경전이 무력충돌 우려까지 낳을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다.

타이완도 과거 어느 때보다 독립의 의지를 높이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 타이완을 부추기며 양안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자국 내정에 대한 간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지만 타이완이 독립된 정치체제라는 것을 중국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사실 이는 그동안 미국의 입장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미국은 이 같은 점에서 모호한 태도를 유지해왔다. 그러면서 타이완과는 정치 군사적인 교류를 의식적으로 피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중 관계가 악화하면서 이 같은 모호한 태도가 좀 더 '타이완은 독립적인 정치체제'라는 데 방점이 찍히고 분명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이 같은 미국의 태도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타이완을 지키기 위해 우리는 힘이 있고 그 힘을 쓸 의지도 있다"는 게 중국의 입장이다. 

과연 중국은 한국처럼 두 나라로 나뉘어질 것인가? 중국 지도부가 그럴 경우 무력도 동원하겠다고 나서듯 네티즌들은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반응이다. 

 

그렇게 해봐, 곧 세상을 뜨게 될 테니까.

 

역시 노년기 치매구나.

 

대만은 중국 영토의 일부야.

모든 위협과 도발을 단호히 반대해.

 

미국은 반드시 자신의 지능을 지켜야 해. 세상은 이미 미국이 실성했다고 심각하게 의심하고 있어.

 

미국이 우리를 죽이려고 하는 마음은 포기하지 않았어.

 

미국은 앞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할 때도 그렇게 말했어.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