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 중국 통신사 순위 1위 ‘广东移动’

 

중국은 국가급 이동통신사와 성급 이동통신사가 동시에 영업을 하는 시스템이다. 

2021년 성급 통신사 순위 1위는 광둥이동통신이 차지했다. 광둥성 일대의 경제권 발달에 따라 이 지역의 통신사 규모 역시 부동의 1위를 차지고 있는 것이다.

과거 SKT는 중국에 진출하면서 중국 당국에게 광둥성급 통신사 허가를 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국가급 통신사 역할을 하겠다며 거절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마나 중국을 모르고 한 판단인지 새삼 다가온다.

2021년 중국 통신사 순위에 오른 기업들은 총 21개 성·시에 분포하였는데, 이 중 상하이 지역이 가장 많았다. 상하이텔레콤, 상하이이동, 상하이연합통신 등이다.

상위 5위 가운데 광둥성 지역 이동통신사는 3곳이 모두 포함됐다.

분포를 보면, 화동 지역이 14개로 가장 많고, 동북지역은 1개 사업자만 이름을 올렸다. 특히 상위 10개 사업자 중 6개가 화동 지역이다. 산시텔레콤(陕西电信)의 증가폭이 가장 컸고, 베이징유니콤(北京联通)은 하락폭이 12계단이나 됐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1위: 广东移动 (광둥이둥)

2위: 广东联通 (광둥롄통)

3위: 江苏电信 (장쑤뎬신)

4위: 江苏移动 (장쑤이둥)

5위: 广东电信 (광둥뎬신)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