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코로나 기원보고서에 中네티즌 "남에게 뒤집어 씌우나"

미국이 코로나의 중국 발생을 단정하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사실 정말 논란이 많은 부분이다.

코로나19의 발생지는 중국 우한이다. 우한에서 감염이 급속하게 번졌고, 바이러스는 빠르게 국경을 넘어 세계로 전파됐다. 그래서 모두가 처음에 '우한 바이러스'라고 불렀다.

그런데 방역에 나서면서 우한에 앞서 유럽과 미국에서도 코로나19 환자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의 강력한 주장에 '우한 바이러스'라는 용어가 바로 폐기됐고,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라는 용어가 채택됐다.

하지만 미국 등 서구 진영에서는 코로나19가 급속히 번진 점을 문제삼고 있다.

변종이 우한에서 발생했다는 게 미국 측 주장이다. 무엇보다 우한에서는 바이러스가 글로벌 사회에 알려지기 전에 이미 코로나19 증세로 숨진 사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미국은 이 같은 점을 확인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에 착수했지만 중국이 이를 방해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역시 말도 안된다며 오히려 미국의 음모론으로 맞서고 있다.

미국이 자체 생화학 무기 실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어 놓고 중국에게 뒤집어 씌운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전 세계는 코로나19로 막대한 손실을 봤다. 만약에 미국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중국의 책임은 막대하다 할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 중국 외교부는 당연히 발끈하며 미국 보고서 내용에 대해 반발했다.

코로나19 중국 기원설은 미국의 음모라는 것이다. 

사실 코로나19 발생 초기 WHO의 뜨뜨미지근한 대응이 이 같은 결과를 불렀다. 중국의 비밀주의도 한몫을 했다.

어쨌든 분명한 점은 코로나19의 무서움이 세계에 알려진 것은 우한 사태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우한 사태를 세상에 알린 사람들은 중국 당국의 탄압을 받았다. 중국인들이야 당국이 보여주는 것만 보지만, 세계인들은 그렇지 않다. 

왜 중국은 우한 사태의 심각성을 감추려할까, 자꾸만 의구심이 들게 만드는 게 중국의 태도다. 이런 태도 속에 미국의 보고서가 나온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중국 네티즌들이 알기는 어려워 보인다. "남에게 뒤집어 씌우고 있다"는 주장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나온다. 

 

도둑이 도둑을 잡으라고 고함치네, 남에게 죄를 뒤집어씌우고 있어.

 

우리는 거짓말을 하고, 속이고, 도둑질해! 이것이 미국의 영광이야!

 

거짓말을 천 번 반복하면 진리가 되는 줄 알아? 세계 사람들이 그렇게 잘 속을까? 중국이 백년 전처럼 그렇게 만만한 줄 알았어?

 

추한 나라가 헛소리하는 걸 서방 언론이 모르는 게 아니라, 그들은 모른 척 하는 거야.

 

미국은 책임 떠넘기기 고수야, 세상을 속이는 이런 죄악은 곧 벌 받을 거야.

 

좋아! 쩌렁쩌렁한 정의의 목소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