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역(易), 사물의 이치



'우리'는 나와 너의 조화다. 나만 있어도, 너만 있어도 '우리'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너와 나의 조합은 '너희'다. 결국 우리가 너희이며, 너희가 바로 우리다.

동양 고전에 큰 줄기를 형성하는 사물의 이치다.

철학적으로는 주역의 "음(陰) 속에 양(陽)이 있고, 양 속에 음이 있다"는 이치이며, 불가의 '색즉시공'(色卽是空) 사상에서도 보인다. 생활 속의 모두가 동포요, 친구라는 '사해주의'(四海主意)다.

서양에서는 19세기말 겨우 인간의 무의식에 관심을 갖으며 등장한다.

칼 융의 아니무스(여성의 남성적 무의식)와 아니마(남성의 여성적 무의식)과 비슷하다.

 

 

‘우리가 바로 너희다.’

바로 역(易)의 사상이다.

갑골문에서 역은 내 술잔의 술을 네게 나눠주는 모양의 글자다. 예수의 포도주다.

내가 네게로 들어가는 순간이다.

예수는 포도주와 빵을 영과 육에 비유하기도 했다.

역의 자형에 대해서 주물하는 모양이라 설명하는 이도 있고,

위 태양과 아래 태음이 서로 뒤바뀌는 모습이라 설명하는 이도 있다.

갑골문에서 발달하는 글자들은 역(易)이 처음 같은 두 그릇 가운데 한 곳에 담긴 액체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모습이었다가 조금씩 한 그릇에서 옮겨지는 모습만 남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대략 설명들은 이 같은 자형 탓에 나왔다.

 

 

중요한 것은 역은 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나와 너란 두 그릇이 액체를 교환하며 관계하는 글자다.

우리가 되는 글자이며, 사물이 되는 글자다.

만물이 우리인 상태가 바로 바로 자연이다.

자연은 앞서 이야기 했듯, “모든 게 나와 같은”이란 뜻이다.

사물이 가장 나와 같은 상태로 실현돼 있는 것이 바로 자연이다.

더 정확이는 ‘자연스러움’이다.

그게 자연이 편한 이유다. 역은 그 자연의 관계를 보여준다.

그래서 역에는 ‘쉽다. 편하다’는 뜻이 담긴다.

자연은 쉽고 편한 것이다. 관계는 쉽고 편한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하늘의 뜻은 ‘항상’에 있고,

땅의 뜻은 ‘항상스러움’에 있듯

자연은 하늘의 도리요,

자연스러움은 땅의 도리다.

역은 사물의 이치이며, 사물과 사물의 이치다.

사물들 그 자체와, 사물과 사물의 관계인 자연의 이치다.

주역은 이 같은 사물의 관계를 풀어 놓은 책이다.

시기에 따라 변화며 변화의 사이클을 되풀이 하지만,

단 한번도 같을 수가 없다는 그 이치를 담았다.

역은 두 컵 사이의 액체다.

액체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기울어진 곳에서 제대로 선 곳으로 흐른다.

역은 그래서 균형이며,

역은 그래서 ‘바로 섬’(正直)이다.

역은 두 컵의 상태이며, 둘 사이를 오가는 액체의 상태다.

역은 물의 철학이다.

자연은 쉽고 편하지만, 자연스러움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땅의 철학인 탓이다.

 

 

인간은 죽어서만 자연이 된다.

살아서는 자연스러움만을 추구할 뿐이다.

그도 잘하지 못해서

인간사는 항상 부자연스로움이 일정 수준을 넘는다.

하지만 항상 다시 자연스러움으로 변화해 간다.

역시 역이다. 자연의 변증법이다.

영원히 옳은 것, 그릇 것이 없고, 그런 게 없다는 게 바로 ‘역’이 담고 있는 생각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